정치

“한미 전략동맹, 경제·기술 영역까지 확대”…강경화, 정상회담 생산적 성과 기대

윤선우 기자
입력

한미 간 무역 협상과 비자 문제, 동맹의 미래 방향을 둘러싸고 강경화 주미대사가 미국 현지에서 현 정부 기조와 입장을 적극 전달하며 주목받고 있다. 한국과 미국 외교 라인은 이달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기간 중 두 번째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견 조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강경화 주미대사는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8월 25일 첫 회담 이후 “안보는 물론 무역·투자 패키지와 관련해 후속 논의가 활발히 이뤄졌다”며 “양국이 남은 이견을 조율 중이고, 매우 생산적인 두 번째 정상회담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날 워싱턴DC에서는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만나 후속 협상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강 대사는 “세계 안보 환경의 변화 속에서 경제·기술 영역까지 포괄하는 미래지향적 전략 동맹을 모색해야 한다”며 “무역과 안보 분야에서 많은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USTR) 등이 참석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통상장관 회의에서 ‘투명하고 기업 친화적인 무역환경’에 대한 공동성명이 채택된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비자 제도 개혁 역시 주요 현안으로 언급됐다.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인 구금 사태 등으로 촉발된 미 비자 문제와 관련해, 강경화 대사는 “양국이 워킹그룹을 구성해 두 차례 회의를 진행했다”며 “단기적 조치뿐 아니라 장기적 관점도 함께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또 한국인 투자자 및 미국 파견 근로자들을 위한 미국 대사관 내 전담 창구 설치 등에서 “가시적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투자자들이 입국 절차의 신뢰성과 근로 권한 보장에 대해 명확한 확신이 필요하다”며 “한국 정부가 3천500억 달러 대미 투자 패키지 준비에 나서는 만큼 관련 비자법(E-4 비자) 조속 통과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향후 미국 의회의 입법 경과에도 양국 경제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편 강경화 대사는 최근 중국이 한화오션 자회사 5곳을 상대로 제재 조치를 단행한 점에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서울과 베이징 당국이 직접적 영향에 대해 협의 중인 것으로 안다”면서도 “중국은 경제적으로 중요한 파트너이자 지리적으로 인접한 이웃”이라며 긴밀한 관계 유지 필요성을 언급했다.

 

한미 간 무역·비자 제도, 대중 외교 등 주요 현안을 둘러싼 논의가 정점에 달하면서 정상회담 결과에 정가와 재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전략적 동맹 강화와 실질 성과 도출에 주력할 방침이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강경화#한미정상회담#비자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