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미 대형은행들 3분기 순익 급등”…JP모건·골드만삭스, 시장 예상을 뛰어넘다

윤선우 기자
입력

현지시각 14일, 미국(USA)에서 JP모건체이스와 골드만삭스, 시티그룹 등 대형은행의 3분기 실적이 일제히 발표됐다. 투자은행 수수료와 거래 관련 수익 급증에 힘입어 세 은행 모두 시장 기대를 뛰어넘는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번 발표는 미국은 물론 글로벌 금융시장에도 긍정적 신호를 던지는 동시에, 지정학적 불확실성을 둘러싼 경계감도 함께 불러일으키고 있다.

 

JP모건체이스는 3분기 순이익이 143억9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다고 밝혔다. 주당 순이익은 5.07달러로,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4.84달러)를 상회했다. 기업 인수합병(M&A) 활황과 함께 투자은행 부문 수수료가 전년보다 16% 늘었고, 주식·채권 등 시장 변동성 확대로 거래 부문 수익은 25% 증가, 해당 분기 역대 최대인 89억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대형은행 3분기 순익 급증…‘JP모건’ 12%↑·‘골드만삭스’ 37%↑
미국 대형은행 3분기 순익 급증…‘JP모건’ 12%↑·‘골드만삭스’ 37%↑

골드만삭스 역시 3분기 순이익이 41억 달러로 1년 전과 비교해 37%나 늘었다. 주당 순이익(12.25달러)과 투자은행 수수료(26억6천만 달러) 모두 예상을 웃돌았고, 수수료 수익은 지난해보다 42% 증가하며 호성적을 이끌었다. 시티그룹도 3분기 순이익 38억 달러(전년 대비 15% 증가)를 올리며 금융시장의 회복세를 보여줬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CEO는 “고용 증가 등 미국 경제는 전반적으로 회복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지정학적 위험, 무역 및 관세 불확실성, 자산 가격 상승, 고착된 인플레이션 등으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상당하다”고 경계심도 나타냈다. 시티그룹 제인 프레이저 CEO 역시 “신규 상품 및 디지털 자산, 인공지능(AI) 등 첨단분야 투자가 혁신과 업무 역량을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실적 개선은 광범위한 경기 회복 움직임의 일면이지만, 글로벌 갈등·인플레이션·금리 불확실성 등이 여전한 리스크로 꼽히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은행 실적 개선이 경기 반등 신호로 해석되지만, 고금리와 지정학 위기 등 변수가 미래를 좌우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대형은행을 중심으로 금융시장의 복원이 진전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중장기적으로는 각종 불확실성과 정책 리스크의 현실화 가능성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번 발표가 글로벌 은행산업 정세와 투자 트렌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jp모건체이스#골드만삭스#시티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