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C, ‘도돌이표’ 안전사고 질타”…도세호 대표, 인력 확충 의지 피력
잇따른 사망사고를 두고 SPC그룹을 향한 정치권의 질타가 이어졌다. 15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도세호 SPC 대표는 반복되는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면서, 안전 인력 확충과 시스템 개선을 약속했다. 이른바 ‘도돌이표’식 대책과 현장 안전 투자를 둘러싸고 여야가 한목소리로 문제를 제기했다.
이날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은 “노동자 목숨이 빵보다 못하나”며 SPC의 산업재해 대응을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당 박정 의원 역시 “SPC가 ‘이런 일 없도록 하겠다’고 하지만 대책은 반복되고 있다”며 불신을 드러냈다. 도세호 대표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면서도 “인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이 SPC 삼립 시화공장을 직접 방문해 근로환경 개선을 촉구한 상황에서, 정치권의 공세가 집중됐다.

SPC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그룹 계열사에서 사망사고가 세 차례나 이어졌고, 회사 측은 1천억원 규모의 안전 투자 계획을 밝혔으나 성과가 체감되지 않는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민주당 박해철 의원은 “정작 필요한 것은 안전 인력인데, 24개 사업장에 고작 3억원만 인력 투자에 썼다”고 지적했다. 이에 도 대표는 “안전관리 인력이 102명으로 법정 기준(58명)보다 많다”며 투자 현황을 설명했다.
국민의힘 김소희 의원도 안전관리자의 직급과 전문성 문제를 제기했다. “신입사원이 주로 담당하는 현재 구조를 개선해, 경력직 채용 등으로 관리자 수준을 높이겠다”는 도 대표의 답변이 이어졌다. 현장 근로복 재질 개선이나, 위험 시 기계 자동정지 장치 설치 확대 등 현장 대응책 마련 계획도 공개됐다.
정치권 전체가 SPC의 현장 대책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어, 향후 실질적 개선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국회는 SPC 사망사고와 같은 산업재해 문제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며, SPC 측의 후속조치에 대한 검증이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