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4천개 기관·58만명 참여”…정부, 드론·사이버 등 신위협 맞춤형 을지연습 돌입
정치

“4천개 기관·58만명 참여”…정부, 드론·사이버 등 신위협 맞춤형 을지연습 돌입

박진우 기자
입력

국가 비상사태에 대비한 정부의 대규모 안전훈련인 '을지연습'이 18일 시작된다. 드론, 사이버 공격 등 신종 안보 위협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정부와 공공기관 등 58만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훈련에 이목이 쏠린다.

 

행정안전부는 17일,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국가 비상대비태세 확립과 비상 시 국민 생활 안정 보장을 위해 을지연습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을지연습은 전시 또는 국가비상사태에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정부 차원의 연 1회 전국 단위 비상훈련으로, 한·미 연합 군사연습과 연계돼 ‘을지 자유의 방패’라는 명칭으로 진행된다.

이번 훈련은 읍·면·동 이상 모든 행정기관, 공공기관과 단체, 그리고 중점관리대상업체 등 약 4천 개 기관에서 58만 명이 동시 참여한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드론, GPS 교란, 사이버 공격, 첨단 신무기 등 새롭게 부상한 안보 위협에 실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훈련 내용을 대폭 강화했다고 강조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중앙부처와 시·도 단위에서 기관장이 직접 국가중요시설과 도로, 전력 설비 등 기반 시설의 실제 피해 상황을 가정한 ‘1기관-1훈련’을 집중 시행한다. 또, 평시 행정체제를 전시 체제로 신속히 전환하기 위한 행동화 훈련과, 전시에 필요한 법령안 즉각 공포 등 다양한 절차 훈련도 포함시켰다.

 

접경지역 주민이동, 서해 5도 주민 수용·구호, 에너지 공급 지속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위기상황 대응 훈련 역시 실시된다. 특히 20일에는 전국 단위 공습 대피, 소방·구급차 길 터주기를 포함한 민방위 훈련이 예정돼 국민적 참여가 이루어진다.

 

다만, 산불 및 호우 피해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은 신속한 피해복구를 위해 이번 을지연습 대상에서 제외된다. 정부 관계자는 “첨단 위협에 효과적으로 맞설 수 있는 국가적 대응체계를 점검해, 실제 위기상황에서도 국민 안전을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정치권은 신종 위협에 맞춘 정부의 실전형 을지연습에 주목하며, 향후 비상대비 시스템의 취약점과 개선점을 논의할 전망이다. 정부는 훈련 후 점검 결과와 현장 의견을 바탕으로 후속 안보 정책 보완에 나설 계획이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을지연습#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