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AI 3대 강국 도약에 역할 당부”…이재명 대통령, 젠슨 황과 기술 협력 강조

서현우 기자
입력

글로벌 AI 산업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젠슨 황 엔비디아 CEO를 만났다. 인공지능 정책과 기술 협업을 매개로 대통령실과 세계 최대 AI 반도체 기업 대표가 한자리에 모여, 미래 첨단산업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31일 경주 화백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젠슨 황 CEO를 접견하고, "한국이 AI 글로벌 강국이 될 수 있도록 엔비디아가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글로벌 협력 사례로서 엔비디아와 국내 기업 간 긴밀한 기술 파트너십을 강조했다. "대한민국은 AI 3대 강국, AI 기본사회라는 목표 아래 기술 개발과 인프라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엔비디아와 국내 기업의 협력이 곧 글로벌 첨단산업 협력의 대표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국은 AI와 관련해 풀 스택 경쟁력을 갖췄다"며, 기업과의 능동적 협력을 공식적으로 주문했다.

젠슨 황 CEO는 한국의 첨단산업 생태계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AI의 미래를 한국과 함께 만들 수 있어 기쁘다"며, "엔비디아는 앞으로도 국내 기업과 인공지능 인프라 구축, 인재 육성, 스타트업과의 연계 강화는 물론 자율주행 로봇 등 피지컬 AI 분야까지 협력을 전면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은 소프트웨어에, 유럽은 제조업에 강점이 있지만 한국은 두 역량을 모두 가지고 있다. AI 리더로 도약할 무한한 잠재력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또한 젠슨 황 CEO는 “오늘날의 엔비디아를 만든 것이 대한민국이다. 나는 대한민국과 함께 자라난 것과 같다”며 한국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공개적으로 표명했다. 대통령실도 "글로벌 AI 경쟁에서 한국의 포지션을 강화하고, 미래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부-기업-글로벌 혁신 리더 간 연대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정치권 일각에서는 엔비디아를 비롯한 글로벌 AI 리더들과의 전략적 제휴가 국내 인공지능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정부 역시 각계의 기업, 해외 파트너십 확대 논의를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향후 AI 기반 산업정책을 더욱 정교하게 추진하는 한편, 민관 협력을 토대로 첨단 기술 주도권 확보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서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젠슨황#엔비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