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섬 온라인 거래액 4,000억 돌파”…스마트 물류·전문몰 전략이 성장 이끌었다
한섬의 온라인 거래액이 올해 처음 4,000억 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지난 2020년 2,500억 원 규모에서 5년 만에 60% 넘게 성장한 결과로, 전문몰 세분화와 스마트 물류 투자, 2030 세대 공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업계는 패션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맞춤형 물류 혁신이 업계 구조에 큰 변화를 예고한다고 보고 있다.
21일 한섬에 따르면 자사 온라인 부문 연간 거래액이 올해 4,000억 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 한섬은 2022년 500억 원을 투입해 업계 최초로 자동화 물류센터 ‘스마트허브 e비즈’를 구축했다. 이에 따라 연간 처리 물량은 기존 대비 3배 이상, 최대 92만 벌 의류를 보관할 수 있게 됐으며, 고객 주문 처리 시간 역시 절반 가까이 단축됐다. 무인운반로봇 도입과 각종 자동화 시스템으로 오배송도 80% 이상 줄었다.

이 같은 물류 효율 개선은 고객 서비스 만족도 제고로 이어졌다. 한섬 측은 “구매전환율과 재구매율이 각각 20%, 30% 이상 뛰었다”며 “특히 다양한 속성의 패션 상품에 맞춘 고도화된 물류가 성장의 핵심 동력”이라고 설명했다.
온라인 채널 전략도 성장세에 힘을 보탰다. 타임·마인 등의 브랜드 전문몰 ‘더한섬닷컴’, 해외패션몰 ‘H패션’, 2030 맞춤 모바일 편집숍 ‘EQL’ 등 세분화된 전문몰이 각 고객층에 톡톡히 소구했다. 전문몰마다 UX·UI, 브랜드 구성, 마케팅 방법을 차별화하며 고객 접점을 확장했다.
특히 2020년 선보인 EQL은 오프라인 매장까지 확대하며 빠르게 안착했다. 성수동 ‘EQL GROVE’ 매장은 첫 달 방문객 10만 명을 끌어모았고, 올해 EQL 연간 거래액은 1,000억 원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된다. 구매자 80%가 30대 이하, 평균 연령 32세, 재구매율 60% 등 젊은 고객층의 높은 충성도를 확인할 수 있다.
한섬은 미래 성장동력 확보 차원에서 AI 등 첨단 기술 도입과 온라인·오프라인 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여유정 한섬 온라인담당 상무는 “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를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향후 패션 유통업계는 물류 혁신과 고객 맞춤 전략이 경쟁력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