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피해 위약금 면제”…김영섭 KT 대표, 사퇴 포함 책임 의사 표명
KT 해킹 사태를 둘러싸고 국회와 기업 간 책임 공방이 정점에 달하고 있다. 김영섭 KT 대표는 위약금 면제 등 피해자 보호 대책을 발표하며, 사퇴를 포함한 책임론까지 언급했다. 피해자와 정치권의 압박이 겹치면서, 사태 수습 방향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김영섭 KT 대표는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최근 발생한 해킹·무단 소액결제 사태에 대해 "(피해자에게) 위약금 면제 고지 등 관련 절차를 즉시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KT는 이날부터 소액결제·불법 기지국 접속으로 피해를 본 2만2천227명에 대해 위약금 면제 고지를 시작했다. 위약금 환급도 당일 오후부터 병행한다고 밝혔다.

피해자는 내달 30일까지 가입을 해지하거나 타 통신사로 이동할 경우 위약금을 면제받을 수 있다. 만약 해외 거주, 건강 등 불가피한 사유가 있다면 기간 연장 역시 가능하다. 다만 위약금 면제 대상은 소액결제와 불법 기지국 피해자에 한정됐으며, 전체 이용자에 대한 면제 여부는 계속된 민관 합동 조사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고 KT는 설명했다.
정치권에서는 KT의 책임 있는 자세를 강하게 요구했다.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 등은 “수십만원대 위약금을 내고 가입을 해지하는 피해자가 발생하고 있다”며, 신속한 대책과 경영진의 책임을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노종면 의원은 김 대표에게 사퇴 의향을 직접 물었고, 김 대표는 "사퇴를 포함한 모든 책임을 지겠다"고 답했다.
KT는 그간 민관 합동 조사단의 최종 결과를 보고 위약금 면제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그러나 현장 피해와 의원들의 압박이 거세지자 하루 만에 대상자 고지 및 조치 착수로 방침을 선회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회는 향후 합동 조사 결과에 따라 위약금 면제 범위 확대, 재발 방지 대책 등 ICT 관련 기업의 책임 강화 방안을 본격 논의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