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차명거래 의혹에 강제수사 착수”…이춘석 의원 출국금지 조치
주식 차명거래 의혹을 둘러싸고 무소속 이춘석 의원과 수사 당국이 정면 충돌했다. 경찰이 이 의원을 출국금지 조치하는 등 강제 수사에 돌입하면서, 정치권을 둘러싼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 전담수사팀은 8월 11일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 위치한 이춘석 의원 사무실에 수사관을 보내, 이 의원과 보좌관 차모씨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10시 20분부터 오후 3시 45분까지 5시간이 넘는 압수수색이 이어졌으며, 이 의원은 사무실에 나타나지 않았다.

경찰은 앞서 8월 9일에도 전북 익산갑 지역의 이 의원 사무실과 익산 자택 등 주말 사이 모두 8곳에서 자료 확보를 완료했다. 미래에셋증권 등 관련 금융기관에 대한 계좌 추적도 동시에 이뤄져, 차명거래로 지목된 계좌의 거래내역이 수사팀에 전달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 측은 국회 의원회관 압수수색은 국회의장 사전 통보 등 절차로 인해 타 장소보다 시기가 늦어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압수수색 일정 노출로 인해 이 의원 측에 준비 시간을 줬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압수수색 과정에서 취재진은 이 의원실 앞 폐품 박스에서 수첩을 발견했다. 해당 수첩에는 보좌관 차모씨의 이름과 영문 이니셜,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추정되는 단어가 적혀 있었으며, 즉시 전담수사팀에 전달됐다.
이춘석 의원과 차모씨는 현재 금융실명법 위반, 이해충돌방지법 위반 등 혐의의 피의자로, 이미 출국금지 조치가 내려진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압수물 분석이 일단락되는 대로 곧바로 두 사람에 대한 소환 조사를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이춘석 의원은 지난 8월 4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차씨 명의로 주식을 거래하는 장면이 포착되며 파문이 일자, 더불어민주당을 자진 탈당했다. 특히 네이버, LG씨엔에스 등 인공지능(AI) 관련주를 거래하는 과정에서, 본인이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장으로 AI 정책 업무를 맡고 있어 이해충돌 논란이 더욱 확산됐다.
경찰은 작년 10월 7일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 당시에도 차씨 명의 계좌로 주식거래를 진행한 정황을 별도로 수사 중이다.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 전담수사팀은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수사를 진행하겠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수사팀은 변호사, 회계사 등 전문인력 25명으로 구성돼 고강도 조사에 돌입한 상황이다.
정치권에서는 이춘석 의원의 주식거래 논란이 소환 조사와 향후 기소 여부에 따라 거센 후폭풍을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경찰은 확보된 자료와 계좌 내역을 면밀히 검토하는 한편, 필요한 경우 추가 압수수색도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