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 1조 원 첫 돌파”…크래프톤, PC·모바일 매출 동반 성장에 사상 최대 실적
크래프톤의 2023년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이 사상 처음 1조 원을 돌파하며, 게임 업계의 수익성 신기록을 썼다. 대표 게임 ‘배틀그라운드’ 시리즈의 호조와 PC·모바일 동반 성장 속에서, 글로벌 시장 공략 및 AI 신사업 투자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크래프톤은 4일 공시를 통해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이 1조519억 원, 매출 2조4,069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3분기만 놓고 봐도 영업이익은 3,48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으며, 매출은 8,706억 원(21%↑), 순이익은 3,694억 원(204%↑)으로 모두 호조를 보였다.

PC 부문에서는 역대 분기 최고 매출인 3,539억 원(29%↑)을 달성했다. 에스파, 지드래곤 등 아티스트 및 부가티 브랜드와의 협업이 매출 성장에 한몫했다. 모바일 부문도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디아(BGMI)’가 분기 매출 최고치를 기록하며 4,885억 원(14.8%↑)의 성과를 올렸다.
특히 기타 부문에서는 자회사 넵튠의 광고 실적 반영으로 매출이 131% 급증했다. 다만 앱 수수료·지급 수수료 증가로 영업비용도 5,220억 원(32.2%↑)으로 늘었다.
투자자들은 크래프톤이 IP파워를 바탕으로 플랫폼 생태계 전환과 글로벌 사업 확장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를 감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PC·모바일 전방위 매출 호조와 함께 AI, 인도 시장 등 신성장동력 확보가 이익 체력 지속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박민규 크래프톤 대표는 “‘배틀그라운드’ IP에 언리얼 엔진5 도입, 사용자 제작 콘텐츠(UGC) 강화 등을 통해 게임플레이 플랫폼으로 전환할 것”이라며 “AI 분야에 1,000억 원을 투입하고, 내년 ‘PUBG’ 내 신규 캐릭터 콘텐츠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크래프톤은 자체 GPU 클러스터와 5,000억 파라미터 파운데이션 모델 등 AI 역량 강화에 SK텔레콤 등과 협력 중이다.
인도 시장도 중장기 핵심 거점으로 꼽았다. 현지 BGMI 흥행에 힘입어 누적 3,000억 원대 투자, 현지 IP 발굴, 게임사 인수, 라이선스 협업 등 전방위 행보에 나서고 있다.
이번 실적 발표에 대해 증권가는 크래프톤이 PC·모바일 동반 성장, 글로벌 AI 신사업 등에 대한 선제 투자를 토대로 장기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향후 정책 방향은 신작 게임 공개와 글로벌 신사업, AI 기반 캐릭터 상용화에 좌우될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오는 13일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에서 공개될 ‘팰월드 모바일’ 등 크래프톤의 미래 전략에 관심을 두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