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 AI로 제조 혁신”…아이티센클로잇, AX 시장 본격 진입
하이브리드 인공지능(AI)이 국내 제조현장의 경쟁력 판도를 바꾸고 있다. 아이티센클로잇은 생성형 AI와 기존 비전 AI의 강점을 융합한 하이브리드 AI 기술을 앞세워, 품질 검사와 생산성 혁신 등 제조 AX(AI 전환) 시장 공략을 확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기술 전시가 생산·물류 현장의 ‘고질적 병목’을 해소하는 실질적인 전환점이 될지 주목한다.
아이티센클로잇은 23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2025 제조혁신코리아’에서 ‘머신러닝 및 생성형 AI 멀티모달 기반 제조·물류 프로세스 혁신’을 주제로 기술 전시와 맞춤형 상담 부스를 운영했다. 전시된 하이브리드 AI는 기존 비전AI가 미처 포착하지 못한 비정형 이상 신호를 생성형 AI로 탐지해내면서, 기존 정형불량 검출의 한계를 넘어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를 통해 불량률은 현저히 낮추고 생산과 물류 전반의 운영효율을 크게 높인 실제 적용 사례가 속속 등장했다.

이 기술은 자동차, 전자부품, 식음료 등 다양한 제조 산업에서 데이터 분석, 품질 이상 징후 조기 탐지, 생산 자동화 등에 활용된다. 실제 도입 기업들은 하이브리드 AI를 통합 적용해 불량 검출 정확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반복적인 운영 프로세스를 표준화해 비용 및 생산 손실을 줄이는 성과를 경험했다.
글로벌 기업들이 Vision AI와 생성형 AI 결합에 투자하는 동안, 아이티센클로잇의 하이브리드 AI는 국내 환경과 공정 특성에 최적화된 케이스를 제시해 차별화에 방점을 둔다. 특히 유럽 등 선진국 시장에서는 복합 AI 도입이 이미 본격화 단계에 있어, 국내 경쟁사 대비 시장 대응 속도와 현장 적용성이 핵심 경쟁력으로 꼽힌다.
현재 제조 현장의 AI 도입 배경에는 공정 데이터의 개인정보보호 이슈, 각 산업별 인증, 현실적 인력 교육 문제 등도 잠재 과제로 남아 있다. 정부와 산업계는 AI 기술의 신뢰성과 데이터 윤리 기준, 현장 실사용을 위한 제도 정비에 협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하이브리드 AI 기술이 제조업 내 고난도 검사·자동화 과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본다. “AI 중심의 프로세스 혁신이 산업 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이제 실증 단계로 넘어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산업계는 이러한 하이브리드 AI 기반 혁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