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3·1운동 이후 최대 규모”…보훈부, 11월의 독립운동에 광주학생독립운동 선정

최동현 기자
입력

정치권과 국가보훈부가 3·1운동 이후 최대 규모의 전국적 민족항쟁을 다시 소환했다. 대표적 학생 항일운동인 ‘광주학생독립운동’이 다음 해 11월의 독립운동으로 선정됐다. 보훈부는 “청년 각성과 해외 한인사회 연대의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국가보훈부는 10월 31일, 1929년 11월 3일 광주에서 시작된 ‘광주학생독립운동’을 ‘2025년 11월의 독립운동’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보훈부는 “광주학생독립운동은 3·1운동, 6·10만세운동과 함께 3대 독립운동으로 꼽히며, 일제강점기 최대 규모의 전국적 학생 항쟁”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운동의 도화선은 1929년 10월 30일 나주역에서 불거졌다. 당시 광주고등보통학교의 한국인 학생과 광주중학교의 일본인 학생들이 충돌한 사건이 계기가 됐다. 보훈부에 따르면, 나주역 충돌을 일제가 부당하게 처리하면서 한국인 학생들의 분노가 최고조에 이르렀고, 일왕 생일(명치절) 등 경축일에도 등교해야 했던 11월 3일에 다시 양교 학생들이 충돌했다. 이 사태는 광주 시내 가두시위로 번지며 대규모 항쟁으로 확산됐다.

 

운동은 이후 목포, 나주, 서울 등 전국 각지로 퍼졌다. 서울에서는 1929년 12월 9일 학생 연합 대규모 집회가 벌어졌으며, 일제는 경찰 2천여 명을 투입해 학생 1천200여 명을 단속하는 등 강경 진압에 돌입했다. 해를 넘겨 1930년 1월부터 3월까지 전국 학교에서 시위가 이어졌고, 이 소식은 중국, 만주, 일본, 러시아, 하와이, 쿠바 등 해외 한인사회까지 전달됐다. 각국의 한인들도 동조 집회에 나서며 세계적 항일 연대로 확대됐다.

 

국가보훈부 관계자는 “광주학생독립운동은 1930년대 민족운동의 전환점이자, 청년세대의 각성, 해외 한인사회의 단합과 독립운동 활성화를 이끈 결정적 계기”라고 밝혔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향후 보훈 정책과 항일 역사교육의 중심 사례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는 분석이 뒤따른다. 정부는 내년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념사업을 확대하고, 관련 교육과 홍보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최동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보훈부#광주학생독립운동#독립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