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량지표·PT로 실적 따진다”…국민의힘, 현역 단체장 평가지표 새로 도입

전서연 기자
입력

정치적 공정성과 검증이 도마 위에 오르며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대대적인 공천 평가 기준 손질에 착수했다. 당내 주요 인사인 정점식 선출직 공직자 평가혁신 태스크포스 위원장은 17일, “현역 시도지사 및 기초단체장을 대상으로 정량지표, 여론조사, 개인 프레젠테이션(PT)을 통한 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해당 평가는 차기 공천에 직접 반영될 전망이다.

 

이번 평가는 다음 달 공식 시행을 앞두고 있다. 국민의힘은 조만간 당헌·당규 제·개정을 거쳐 세부 기준을 확정할 계획이다. 정점식 위원장은 “그간 국회의원에 비해 현역 단체장의 객관적 평가가 미흡했다”며, 새로운 체계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현직 광역 및 기초단체장은 정량지표(50%), 여론조사(30%), 개인 PT(20%)에다 최소 10점에서 최대 10점의 가감점이 부여된다. 정량지표에는 지역 고용률, 예산 확보, 기업 유치, 재정 지표 등 경제 성과가 40점, 청렴도·주민 소통 등 리더십이 30점, 당 기여 평가가 30점 포함된다. 평가 기준은 전국 단위 일괄 등수가 아니라 각 단체장의 임기 시작점 또는 민선 7기 실적 대비 민선 8기 변화율을 활용한다.

 

정점식 위원장은 “공신력 있는 국가 공식 통계에 근거해 민선 8기 지역 발전 기여도를 평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인구소멸 등 불리한 자치단체에는 가산점을 적용하는 등, 지역 여건도 감안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고용률이나 투자 유치 등 수치 중심의 실적이 공정하게 반영되도록 시스템을 설계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국민의힘은 이번에 단체장이 직접 자신이 추진한 정책과 성과를 PT로 발표하는 절차도 처음 도입하기로 했다. 단체장 발표는 지역 특색을 살린 성공 사례를 당 전체 공약으로 확장하는 데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정 위원장은 “여론조사는 단순 지지율이 아닌 주민들이 체감한 민선 8기 지역발전, 생활환경 개선 등 성과 위주로 설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위, 친인척 비리 등이 드러난 단체장에 대해서는 감점이 적용된다. 평가 결과의 활용 범위에 대해 정 위원장은 “컷오프 여부 등은 공천관리위원회에서 추가적으로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다. 평가혁신 TF는 객관적 합산 점수만 산출해 공관위에 전달할 방침이다.

 

국민의힘은 이번 평가제를 통해 당 소속 단체장의 책임과 실적을 한층 명확히 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정치권은 차기 공천 과정에서 현역 단체장들의 성적표가 지방선거 구도를 크게 좌우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당은 내달 중 평가를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전서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민의힘#정점식#공천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