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토피아, 인간 뇌의 기억 바꾼 순간”…이인아·궤도, 담담한 경계→정체성의 갈림길 맞서다
환한 웃음으로 이야기를 열던 AI토피아의 무대 위에는, 이인아 교수와 진행자 궤도만의 깊은 시선이 더해지며 묵직한 울림이 피어났다. 누구나 작은 휴대전화 속에 기억을 맡긴 오늘, 이인아 교수는 우리의 뇌가 그 환경에 얼마나 유연히 적응했는지 담담하게 풀어냈다. 기억의 외주화, 점점 더 인간의 뇌 밖에서 이뤄지는 정보 저장의 시대. 이인아 교수는 단순한 퇴보가 아니라 변화에 대응하는 뇌의 놀라운 선택임을 강조했다. 하지만 익숙함에 기댈수록 기억의 회복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경고가 조심스레 전해지며, 시청자에게 긴 여운을 남겼다.
이어지는 이야기는 감정 없는 AI와 인간의 관계로 향했다. 사회적 유대를 가꿔온 특유의 인간 뇌, 그곳에는 닿을 수 없는 AI의 한계가 뚜렷하게 선을 그었다. 궤도는 "AI가 써내는 완벽한 글, 정작 우리 안의 정체성은 어떻게 될까"라는 질문으로 새 방향을 제시했다. 이인아 교수는 AI가 제공하는 평균적 답변과 상업적 데이터에 머무는 한계, 그리고 우리가 결코 양보할 수 없는 창조적 자아의 중요성을 짚었다. 반복적 기능에 기대다 보면 흐려지는 자신의 정체성과 인간만의 즐거움. 결국, 기록하는 기쁨과 고유한 이야기를 지키는 것이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의 몫이란 의견이 힘 있게 메아리쳤다.

끝내 이인아 교수는 "기계적 역할을 넘어, 인간다움이 무엇인지 묻는 시대"임을 상기시켰다. AI가 흉내 낼 수 없는 감정, 경험, 창조의 순간에 자신만의 의미를 둘 것. 이 모든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일상조차 스스로 되새겨야 할 이유를 깊이 품고 있다. 프로그램은 단순 정보를 넘어 본질적 성찰의 시간을 건네며, AI 의존 대신 직접 채우는 삶의 무게를 조용히 강조했다.
AI와 인간 뇌의 숙명적 공존, 그 경계의 치열한 지키기가 펼쳐진 ‘AI토피아’ 일곱 번째 장은 주말 저녁 토요일과 일요일 오후 10시 KBS LIFE와 UHD Dream TV를 통해 시청자와 만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