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산불 대응 패러다임 바꿔야”…김민석 총리, 통합 진화 시스템 강화 강조

송우진 기자
입력

산불 대응 체계 개편을 둘러싸고 정부 핵심 관계자들이 현장 목소리를 쏟아냈다. 김민석 국무총리와 이재명 대통령이 각각 산불 위험 증가에 따른 범부처 통합 진화 시스템 강화를 주문하면서 정치권 관심이 집중된다. 잦아진 대형 산불 속에 대응력 강화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22일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열린 ‘산불진화 통합훈련’ 현장을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는 “정부는 산불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한 치의 소홀함도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훈련을 참관한 김 총리는 “(헬기가) 산불 진화로 그을린 것을 보면서 산림청 진화 대원들이 험한 현장에서 국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얼마나 애썼는지 절감했다”며 진화 인력 및 현장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이날 김 총리는 산불 양상의 변화를 언급하며, “올봄 산불에서 볼 수 있듯이 그 양상이 ‘초고속’, ‘초대형’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더는 한두 부처나 지자체가 이전의 방식으로 대응해선 산불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켜낼 수 없다”며, 범정부 차원 전환을 요구했다. 그는 “(산불 대응)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이는 대통령께서 취임 직후부터 군 헬기 조기 투입 등 즉각적인 범부처 산불 진화 시스템 구축을 강조한 이유”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훈련 현장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주문도 전달됐다. 김 총리는 “이재명 대통령이 전날 국무회의 이후 ‘군 헬기의 물 투하 등에 훈련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며, 각 기관의 실전 대응력 향상을 거듭 요청했다.

 

한편 이날 훈련에는 산림, 소방 등 유관 기관에서 250여 명이 참여했다. 김민석 총리는 사전 현장 점검을 통해 산불진화차량, 기상관측차, 드론 등 장비 운용 상황을 세밀하게 확인했다. 진화 대원들의 헬기 레펠 하강, 소방헬기 물 투하, 주민 대피, 방화선 구축 등 단계별 실제 시나리오에 기반한 훈련도 30분 동안 이어졌다.

 

정치권에선 대형 산불 빈도 증가와 기후변화에 대응해 산불 진화의 범부처 협력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예방·초동대응·대피체계·훈련 등 모든 대응 단계를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는 김 총리의 메시지가 강조됐다. 정부는 산불 예방 및 진화의 모든 가능성을 점검하며, 범부처 시스템을 지속 강화할 방침이다.

송우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민석총리#이재명대통령#산불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