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캄보디아 대학생 부검에 법무부 검사 직접 참여”…사망사건 규명 본격화

이준서 기자
입력

캄보디아 대학생의 사망 사건을 두고 한국 법무부와 캄보디아 당국이 본격적으로 맞붙었다. 수사 범위 확대와 부검 과정에 법무부 검사가 직접 참여하면서 사망 경위 규명과 양국 간 수사 공조가 한층 긴장감을 더하고 있다. 사망 대학생 박씨(22)가 현지 범죄 조직에 감금·피살된 정황이 잇따라 드러나면서, 이번 사건의 정치·외교적 파장도 커지는 분위기다.

 

20일 법무부는 프놈펜 턱틀라 사원에서 진행된 박씨의 부검에 한국 검사와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국내 전문가 6명이 직접 참여했다고 밝혔다. 캄보디아 측 경찰과 의사 등 6명도 함께 현장에 배석했다. 법무부는 “부검 결과 시신 훼손은 없었으며, 정확한 사인은 국내에서 조직 검사와 약독물 검사, 양국 수사 결과를 종합해 확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법무부 국제형사과 검사와 수사관은 캄보디아 법무부 차관을 21일 오전 면담하고, 박씨 사망 관련 수사 기록 신속 제공을 공식 요청할 계획이다. 또한, 현지 스캠센터 단속 실효성 확보와 협력 방안도 집중적으로 논의할 방침이다. 법무부는 “국내외 관계 기관과 유기적으로 협력해 사건 규명과 캄보디아 내 범죄 단체 대응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박씨는 지난 7월 가족에게 박람회 참석을 알린 뒤 캄보디아에 입국했으나, 현지에서 ‘웬치’로 불리는 조직에 감금돼 고문당한 뒤 8월 8일 살해된 채 발견됐다. 이에 따라 법무부는 검찰·경찰, 외교부, 금융위원회 등과 함께 ‘해외 보이스피싱 사범 대응 TF’를 꾸리고, 캄보디아 등지의 총책급 범죄인 우선송환과 범죄수익 동결·환수 절차를 추진 중이다.

 

TF는 지금까지 정규회의를 두 차례 개최했으며, 캄보디아 소재 범죄자 12명을 포함해 약 20~30명을 우선송환 대상자로 선정했다. 또한, 법무부가 구축한 동남아시아 공조 네트워크(SEAJust) 등 협력채널을 활용해 범죄수익 환수 방안도 빠르게 검토 중이다.

 

법무부 이진수 차관은 지난달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된 ’아세안 지역 초국가범죄 대응을 위한 장관급 회의‘에서, 캄보디아 내무부 차관과 만나 신속 부검과 수사 협력을 직접 요청했었다.

 

국내외에선 캄보디아 ‘웬치’ 등 해외 범죄단지의 실태와 한국인 피해 실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정부의 단호한 대응 기조가 이어지는 만큼 이번 사건 전후 관련 법안 논의나 국제형사사법 공조 체계도 한층 가속화될 전망이다.

 

정치권과 수사 당국은 향후 추가 부검 결과와 캄보디아 수사기록 공유 등을 토대로 피해 경위 전모를 규명하는 한편, 유사 사건 재발 방지책 마련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이준서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법무부#캄보디아#박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