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국정 긍정 69.3%”…여론조사꽃, 전 지역·세대서 우세 흐름
정치권 여론 지형이 요동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 긍정 평가가 70%에 육박하며 전 지역과 전 세대에서 우세한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꽃’이 11월 14일부터 15일까지 실시한 정례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긍정률은 69.3%(CATI 기준)로, ‘부정’ 평가는 29.5%에 머물면서 39.8%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정치적 대립이 팽팽한 가운데, 대다수 계층에서 긍정 평가가 우세한 흐름이 확인되면서 정국에 적잖은 파장을 낳고 있다.
CATI(전화면접) 조사 권역별로 살펴보면, 호남권에서 긍정률이 91.5%로 독보적으로 높았고, 서울(70.0%)·충청권(69.7%)·경인권(69.2%) 등 주요 대도시권에서도 10명 중 7명 안팎이 국정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어 부·울·경(66.6%), 강원·제주(59.8%), 대구·경북(53.9%) 등 전국에서 과반 이상이 긍정 응답을 기록했다. 연령별로도 40대(86.1%)와 50대(80.9%)에서 압도적인 지지세가 나타났으며, 18~29세(53.5%)와 70세 이상(55.6%) 등 전 세대에서 과반이 긍정 평가를 선택해 전방위적 우세 구도가 드러났다.
![[국정 지지율] 이재명 국정 긍정 69.3%, 전 지역·전 세대 우세(여론조사꽃)](https://mdaily.cdn.presscon.ai/prod/129/images/20251117/1763357353679_663811077.png)
정당별로는 대조적 평가가 부각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8.6%가 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에 찬성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82.7%는 부정적으로 답했다. 무당층은 긍정 53.1%, 부정 38.7%로 긍정이 앞섰고, 진보층 93.2%가 강한 지지를 보였다. 보수층에서는 부정 평가(59.2%)가 우세했다. 중도층은 긍정 74.0%(직전 조사 대비 3.9%포인트↑), 부정 24.8%(4.4%포인트↓)로, 긍부정 격차가 49.2%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중도층 내 긍정 평가는 추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비슷한 시기 ARS(자동응답) 조사 결과에서도 긍정률 우세가 이어졌으나, CATI 조사에 비해 다소 보수적 수치가 나왔다. ARS 기준 국정 긍정률은 61.9%, 부정률은 36.5%로 집계됐으며, 긍부정 격차(25.4%포인트)는 전 회차 대비 줄었다. 대부분 권역에서 긍정 응답이 과반을 기록한 가운데, 대구·경북에서는 긍정 47.5%, 부정 48.3%로 유일하게 혼전 양상을 나타냈다.
ARS 조사에서 40대(73.5%)와 50대(70.8%)가 가장 높은 긍정 응답을 보였고, 18~29세는 긍정 48.2%, 부정 50.4%로 팽팽하게 맞섰다. 성별로는 남성(61.2%)과 여성(62.7%) 모두에서 긍정 평가가 앞서, 성별 격차는 크지 않았다. 정당지지층 분석에서는 더불어민주당(96.9%)·진보층(87.0%)에서 긍정 평가가 크게 앞섰으나, 국민의힘(91.0%)·보수층(66.5%)에서는 부정 평가가 우세했다. 중도층의 긍정률은 63.7%로, CATI보다 다소 하락한 것이 두드러졌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CATI 전화면접과 ARS 무선 임의전화걸기(RDD) 두 방식으로 각각 실시됐다. CATI는 응답률 10.6%(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포인트), ARS는 응답률 2.2%(동일 표본오차)였으며, 행정안전부 2025년 기준 인구 통계에 따라 가중치가 적용됐다. 여론조사꽃 측은 “조사 방식과 진영별·이념 성향별 편차가 있으나, 전반적 우세 구도는 유지됐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높은 국정 지지율을 바탕으로 정책 추진에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중도층과 고연령층 내 긍정 평가가 확대될지 추가 여론 움직임에 관심이 모인다. 정치권은 여론 변화 추이를 주시하며, 조만간 주요 정책 논쟁에서 치열한 공방이 이어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