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인재 육성 플랫폼”…현대차·기아 2025 아이디어 페스티벌, 창의성 실험→미래 기술 자산화
현대차·기아가 임직원 창의력 지원을 위한 미래 기술 실험장으로서 ‘2025 아이디어 페스티벌’ 본선 경연을 지난 22일 경기도 화성 남양연구소에서 개최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올해로 16회를 맞은 이 행사는 창의성과 구현의 실질적 접점이라는 점에서 자동차 산업계는 물론 미래 R&D 전략의 경쟁력 강화를 상징한다. 참가팀들은 단순한 제안에 그치지 않고 실물 제작을 통해 아이디어의 현장 적합성까지 검증한다는 취지 속에 신기술 선행개발의 활로를 개척한다.
올해 본선에 진출한 6팀의 제안은 자동차의 본질적 안전성과 편의성은 물론 고객 경험을 극대화하는 고도의 기술 아이디어를 담았다. 구체적으로, 디지로그 락 시스템은 개인별 수납공간 관리 기술의 진보를, 트레일러 토잉 프리 컨디셔닝은 견인 환경에서의 안전성과 성능을 현격히 끌어올리는 방안을 내놓았다. 또, 디벨트는 차량 제어와 안전벨트 기능의 융합을 구현하고, 액티브 옴니 내비게이션 트랜스포터는 전방위 이동 플랫폼의 미래를 조망한다. S.B.S는 발달 장애인의 심리적 안전장치에 새로운 해법을 제시하며, 스냅플레이트는 번호판 기반의 첨단 연락 서비스를 구상했다. 심사위원단은 기술의 구현성, 독창성, 시장 적합성, 사용자인터페이스까지 입체적으로 평가했다.

수상팀에게는 1천만원의 상금과 2026 CES,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 견학 등 국제적 경험의 기회도 부여돼, 국내외 트렌드와 혁신의 실체를 직접 조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대차·기아 연구개발인사실 백정욱 실장은 혁신 문화의 내재화와 연구원의 창의 역량 극대화 의지를 밝히며, 창의적 인재가 뿌리내리는 토양을 지속 확충하겠다고 강조했다.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미래 기술 경쟁력 확보에 집중하는 시장 변화 속에서, 현대차·기아의 이 같은 창의력 발굴 체계는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주도권을 견인하는 시금석으로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