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상병 기록 회수 의혹 피의자 소환”…임종득, 순직해병특검 묵묵부답 출석
채상병 순직 사건을 둘러싼 정치적 충돌이 다시 한 번 불거졌다. 윤석열 정부에서 국가안보실 2차장을 지낸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이 12일 순직해병특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했다. 이날 조사는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 기록을 경찰로 이첩하는 과정을 임 의원이 보류·회수하도록 지시했다는 의혹이 핵심이다. 특검팀은 임 의원에 대해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등 혐의로 입건하며, 현직 국회의원이 특검에 소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임종득 의원은 이날 오전 9시 3분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 모습을 드러냈다. 취재진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기록 회수와 관련해 직접 지시를 내렸는지, 임 의원이 실제로 기록 회수를 지시한 적 있는지, 경찰 이첩 이후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과 어떤 대화를 나눴는지 등 구체적 질문을 이어갔다. 그러나 임 의원은 이 모두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며 조사실로 향했다.

임 의원은 과거 육군 소장 출신으로, 2022년 8월부터 2023년 9월까지 국가안보실 2차장으로 재직하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군사·안보 보좌를 맡았다. 올해 4월 실시된 22대 총선에서는 경북 영주시영양군봉화군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됐다. 논란이 불거진 2023년 7월 31일 'VIP 격노'라 불린 대통령실 외교안보 수석비서관 회의에는 휴가 일정과 겹쳐 불참했으나, 그 직후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등과 긴밀히 연락한 사실이 특검 수사를 통해 드러났다.
더불어 특검팀은 임 의원이 국방부, 해병대, 대통령실 관계자들과 주고받은 통화 및 만남에 집중하며, 채상병 사건 기록의 회수와 관련한 직접적 관여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시 여부 등을 규명하고 있다. 임 의원의 자택과 국회 사무실 등은 지난달 11일 압수수색을 통해 관련 자료가 확보된 상태다.
한편, 채상병 사망 사건 당시 언론 대응을 총괄한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도 이날 두 번째 참고인 조사를 받기 위해 특검에 출석했다. 전 대변인은 2023년 7월 30일 사건 초동조사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하던 자리에 배석한 인물이다. 장관 지시로 언론 브리핑이 취소된 이후 언론 대응을 총괄하면서도, "무엇을 빼라 이런 것은 없었다"고 당시 정황을 밝혔다. 앞서 5일에도 13시간가량 조사를 받은 바 있으며, 특검팀은 이후 국방부 회의, 브리핑 취소 과정, 이른바 '괴문서' 유포 배경까지 확인할 계획이다.
정치권에서는 특검의 첫 현역의원 소환을 두고 여야 공방이 긴장감 속에 이어지고 있다. 야권에서는 사건 초동조사와 기록 이첩 과정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을 촉구하고 있고, 국민의힘은 수사가 정치적 의도에 기반한 과잉수사라는 입장이다. 전문가 일각에서는 정치·군사 현안이 복잡하게 얽혀 총선 정국에까지 여진이 미칠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날 특검 사무실 앞에서 정치권은 특검 조사 방향과 향후 혐의 소명 가능성을 두고 한 치 양보 없는 신경전을 벌였다. 특검팀은 해병대 채상병 사건의 기록 회수와 관련된 정황을 집중 추적하며, 추가 압수수색 및 관계자 조사를 이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