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통신망 통합 전환”…KT, 국가정보통신망 백본 구축 앞장
KT가 행정안전부 산하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발주한 ‘국가정보통신망 백본(기간) 전송망 구축·운영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며 공공 IT 인프라 시장의 판도 변화가 예상된다. 이번 사업은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내각별로 따로 운영해 온 통신망을 하나의 기간(백본)망으로 통합·전환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흐름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총 사업 규모는 832억1000만원에 달하며, 내년부터 2031년 6월까지 약 5년간 구축·운영된다.
KT는 5일 조달청 나라장터에서 진행된 개찰에서 종합 평점 99.9831점을 획득,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를 제치고 단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이로써 핵심 기간통신망 인프라 구축에서 KT의 기술력과 운영능력이 다시 한 번 검증된 셈이다. 백본망은 각 부처·지자체·공공기관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연결시키는 핵심 인프라로, 전용광통신(백본 트렁크 회선), 라우팅 설계, 이중화·보안체계 등이 결합된 초고속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다.

KT는 기존 상용 망에서 축적한 5G, 광전송 기술을 적용해 전체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대폭 강화할 것이라 밝혔다. 특히 기간망 전체 설계와 운영 노하우, 전국단위 장애 복구 체계, 효율적 자원 분산 운용 등이 경쟁력의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행안부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데이터의 일원화로 사이버보안, 재난대응, 정부 간 신속한 업무처리 효율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로는 일본, 싱가포르 등에서도 국가기간 통신망 통합 확산이 가속화되는 추세다. 기존 분산형에서 기반망 일원화로 전환하며, 네트워크 관리 자동화, AI 기반 보안 솔루션 도입, 데이터 주권 강화 등 다양한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미국도 연방정부 중심으로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한 통신망 컨소시엄 전략을 취하고 있다.
공공 영역 내 대규모 인프라 재편에는 정책·보안 규제 이슈도 따른다. 통합망 구축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 전송망 중단 대비, 인증·감사체계 등 복잡한 기술·제도적 요구가 수반된다. 국내에서는 행안부·과기정통부 주도 정보보호인증, 장애복구 표준, 예비회선 확보 등 고도화된 규정 준수가 필요하다.
KT 관계자는 “기간망 통합은 대한민국 디지털정부의 뼈대를 강화하는 대전환”이라며 “5년간 안정적인 구축·운영과 선진 보안기술을 동원, 국가 데이터 인프라의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업은 향후 공공 IT 인프라 시장의 ‘통합·클라우드화’ 대세를 가늠하는 시금석”이라 평가했다. 산업계는 통합 백본망이 실제로 안정적으로 운영될지, 관련 규제와 예산 집행의 효율성이 어떨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