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피해 국회직원 48명”…김민기 국회 사무총장, 내란특검 조사서 피해 실상 강조
국회를 무력으로 제압했던 비상계엄 사태를 둘러싸고 정치적 충돌이 재점화됐다. 국회 사무총장을 비롯한 핵심 인사들이 피해 실태를 직접 진술하며 책임 공방이 치열해지는 형국이다. 2025년 7월 15일,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김민기 국회 사무총장을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및 외환 사건의 국회 피해 상황을 집중 조사했다.
김민기 사무총장은 이날 서울고등검찰청 청사 출석에 앞서 “불법 계엄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국회의 입장을 소상히 설명할 예정”이라며, “사무총장으로서 계엄군에게 단 한 발자국도 들어올 수 없다고 했으나, 창문을 깨고 들어온 행위는 의원들을 강제로 끌어내기 위함이었다는 점을 분명히 하겠다”고 밝혔다. 계엄 피해와 관련해 “직접 확인한 피해 직원이 48명으로 집계됐다”며, “피해 통계를 더 이상 확대 기재하지는 못했으나, 상황 파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특검팀은 김 사무총장에서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이후 이어진 국회 내 인적·물적 피해 상황과, 계엄군의 난입 경위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민기 총장은 계엄 선포 직후 우원식 국회의장에게 신속히 보고한 뒤, 계엄군이 전기 차단에 나설 조짐을 보이자 실무 직원들에게 발전기 사수를 직접 지시한 당사자로도 거론됐다.
특히 김 총장은 “국회에도 자료 제출 등 수사 협조 의무가 있다고 본다”고 밝히며, 그간 확인된 각종 CCTV 영상과 손해 자료를 올해 12월 9일 기자회견을 통해 수사기관에 제출한 사실을 재차 확인했다. 아울러, 올해 4월에는 “비상계엄 전후로 국회의사당 내 일부 공간이 부적절하게 활용된 사실이 있다”며 군과 경찰에 할당된 공간을 공식 회수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김 사무총장 외에도 계엄 당시 현장에 있었던 국회 사무처 인력 등을 추가로 소환할 방침이다. 한편, 정치권은 국회 내 피해 상황과 계엄군의 강제 진입 경위 파악에 있어서 진실 규명과 책임 소재를 놓고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향후 조은석 특별검사팀과 국회의 긴밀한 공조가 이어질 전망인 가운데, 사건 진상 규명에 따라 관련자 처벌과 정치적 후폭풍 및 입법 개선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