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전기차 화재 안전성 우려”…현대차 코나EV, 소비자 불신 고조→보상 체계 논란

권혁준 기자
입력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 속에서 현대자동차의 코나EV 화재 사건이 재차 안전성 논란의 중심에 섰다. 최근 인천 계양구의 한 빌라 주차장에 주차 중이던 코나EV에서 발생한 화재는 차량 전소와 더불어 인근 주민 대피라는 심각한 결과로 이어졌으며, 화재 피해를 입은 차주가 제조사의 대차 및 보상 대응에 문제를 제기하며 소비자 불신이 고조되고 있다.

 

화재는 지난 8월 13일 새벽 발생했으며, 소방서 추산 약 695만 원 상당의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10여 명의 주민이 대피하는 등 지역사회에도 파장을 일으켰다. 해당 차량은 2020년 9월식으로, 공식적으로 리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또한, 차량 운행 중 경고등 점등 등의 징후는 이전에 전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과 소방당국, 제조사가 합동 감식에 나선 결과, 배터리 셀의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되진 않았으나, 배터리 내부 문제인지 외부 영향에 의한 것인지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채 결론지어졌다.

전기차 화재 안전성 우려…현대차 코나EV, 소비자 불신 고조→보상 체계 논란
전기차 화재 안전성 우려…현대차 코나EV, 소비자 불신 고조→보상 체계 논란

차주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제조사 직영 정비센터와의 대차 협의 과정에서 화재 차량과 동종 차종을 대차로 제안받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손해 산정 및 보상금 지급 과정에서 피해자의 심적 고통과 실질적 손실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 등 피해자 중심의 대책이 미흡하다고 토로했다. 합의서에 언론 발설 금지 조항을 포함하는 등, 기업 대응의 투명성과 신뢰성 논란도 불거졌다.

 

전기차 배터리 화재는 높은 온도, 에너지 밀도 등 구조적 특성상 내연기관차 대비 화재 진압 및 원인 규명이 어렵다는 점에서 업계와 당국 모두 안전성 대책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전문가들 또한, 화재 이후 소비자 불안 해소와 신속한 보상 체계 마련, 그리고 투명한 사고 조사 과정이 전기차 산업 신뢰도 확보의 핵심임을 강조하고 있다.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국내외 전기차 제조사들은 화재 위험에 대한 선제적 리콜과 보상 시스템 정비를 통해 소비자 신뢰 회복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산업계 전체에 보다 체계적이고 신속한 화재 대응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는 평가다.

권혁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현대자동차#코나ev#전기차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