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AI 기반 모빌리티 협력 가속”…한국교통연구원·서울시립대, 미래 교통체계 혁신→산학 시너지
전민준 기자
입력
인공지능(AI) 기술이 교통 산업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동인으로 부상한 가운데, 한국교통연구원과 서울시립대학교가 연구협력 체계를 공고히 하며 차세대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24일 한국교통연구원은 서울시립대학교와 AI 기반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전략적 산학협력을 공식화했으며, 양 기관은 공동연구와 현장실습을 비롯해 연구 자원 및 인력을 긴밀히 공유하기로 했다.
현재 자동차 및 교통산업 전반에 불고 있는 AI 접목 추세는 기술·정책·산업의 융복합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 자율주행, 스마트 인프라, 에코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의 혁신 동력이 시급히 요구되는 배경 아래, 이번 협약은 국내 교통 분야의 인재 양성과 미래 교통정책 고도화를 위한 의미 있는 진일보로 해석된다. 김영찬 한국교통연구원 원장은 “AI는 교통의 패러다임을 혁신적으로 바꿀 핵심 기술”임을 강조하며, 장기적으로는 국가 모빌리티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는 방향을 내비쳤다.

원용걸 서울시립대학교 총장 또한 “교통 분야의 AI 융합이 지속 가능하고 미래지향적인 에코 모빌리티 구현의 전환점”임을 언급했다. 양 기관의 축적된 연구 인프라와 전문성이 모빌리티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실제 산업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연구성과 창출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피력했다. 전문가들은 본 협력이 데이터 중심의 혁신적 교통 체계 구축에 중요한 자극제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민준 기자
밴드
URL복사
#한국교통연구원#서울시립대학교#미래모빌리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