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범죄단지서 숨진 대학생, 부검에도 사인 미궁”…한중 공조에도 남은 과제
캄보디아 현지 범죄단지에서 숨진 채 발견된 한국인 대학생 박모(22) 씨의 사망 경위를 밝히기 위한 한·캄보디아 공동 부검이 20일 오전 프놈펜에서 진행됐다. 그러나 시신 훼손 흔적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정확한 사인은 약독물 검사 등 추가 조사를 통해 밝혀질 전망이다.
법무부에 따르면 20일 오전 10시 35분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현지 시각) 프놈펜 턱틀라 사원에서 박 씨에 대한 부검이 진행됐다. 이번 부검은 한국 법무부, 검찰, 경찰과 캄보디아 당국이 공동으로 참여한 형사사법 공조 절차로, 각국 관계자 총 12명이 현장에 참여했다. 부검 결과에 대해 법무부 측은 “시신 훼손은 없었으며, 최종적인 사인은 추가 조직검사 및 약독물 검사를 통해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신 전신에 멍이 발견됐지만, 흉기에 찔리거나 상처를 꿰맨 흔적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건은 지난 8월 8일 캄폿주 보코산 웬치 인근 차량 안에서 박 씨가 숨진 채 발견되면서 시작됐다. 박 씨는 지난 7월 17일 캄보디아로 출국한 뒤 가족과 연락이 두절됐던 상태였다. 현지 경찰은 1차 검안에서 ‘고문에 의한 심장마비’로 사인을 기재했으나, 국내 전문가들은 약물 여부 등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이번 부검에는 한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검의 등 전문가 6명과 캄보디아 측 수사당국이 참여했다. 법무부는 부검 후, 유해를 국내로 송환해 추가 검사와 가족 인계를 신속히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씨의 유해는 21일 오전 인천공항에 도착해 경북경찰청이 인수 후 유족에게 전달될 계획이다.
사망 경위와 별개로,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한·캄보디아 간 범죄 수사 공조와 재외국민 보호체계의 한계가 또다시 드러났다. 현지에서 박 씨를 살해한 혐의를 받는 중국인 3명은 이미 구속 기소됐으며, 범행을 주도한 것으로 지목된 중국 동포 2명의 행방은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정부는 법무부, 외교부, 경찰청, 국정원 등이 참여하는 ‘해외 보이스피싱 사범 대응 TF’를 통해 캄보디아 내 범죄단지의 실태 파악과 신속한 범죄인 송환에 힘쓰고 있다. 현재 캄보디아 현지에 파견 중인 정부 합동대응팀도 사망 사건 관련 수사 기록 제공과 스캠센터(사기 조직 활동 거점) 대응 방안 논의를 추진 중이다.
한편, 캄보디아 등 동남아로 범죄수익이 유출된 데 대해서는 법무부 주관 동남아시아 공조 네트워크(SEAJust) 등 다자 협력체를 활용, 범죄수익 환수와 추가 피해 방지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이 단발성 피해에 그치지 않고 조직적·국제적 범죄 대응의 공백을 드러낸 만큼, 제도 개선과 사각지대 해소가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수사 공조와 피해자 보호, 신속 대응 체계 구축 등 과제가 남았다. 경찰과 법무부는 “캄보디아 당국과 긴밀히 협력해 사건을 철저히 규명하고 추가 피해를 막겠다”고 밝혔다. 해당 사건은 한동안 국내외의 구조적 대응을 두고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