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연 57만명 공무원 당직 투입”…인사혁신처, 대기성 근무 축소 움직임 본격화
정치

“연 57만명 공무원 당직 투입”…인사혁신처, 대기성 근무 축소 움직임 본격화

최동현 기자
입력

공무원 조직 내 대기성 당직 근무를 두고 인사혁신처와 공무원노조 간 논의가 전개됐다. 인사혁신처는 연간 57만명에 달하는 국가공무원이 당직근무에 동원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행정 효율화와 당직제도 개편이 화두로 떠올랐다. 공직사회 조직문화 개선이 또 한 차례 정국의 주요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인사혁신처는 9월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가공무원노동조합,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공무원노동조합연맹 등과 간담회를 열고, 현행 공무원 당직제도의 문제점과 개편 방향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천171개 기관에서 당직근무에 투입된 국가공무원은 총 57만752명으로 집계됐다.

간담회에서 공무원노조 측은 “인공지능 기술 등 최근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반복적이고 불필요한 업무를 대폭 줄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에 대해 천지윤 인사혁신처 윤리복무국장은 “AI 기술 발전 등 최근 변화를 반영해 대기성 당직을 최소화하되, 정부의 긴급 상황 대응력은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 그는 또 “효율적 당직근무 수행을 위해 개선 방안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구체적 실행 의지를 보였다.

 

당직제도 개편 움직임은 대통령실의 국정과제와도 맞닿아 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2025년 7월 24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적극 행정과 공직사회 조직문화 개선을 주문한 바 있다. 대통령실은 ‘5대 주요 과제’ 중 하나로 당직제도 전면 개편 방안을 공개 정책 의제로 제시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반복적 대기성 근무에 따르는 비효율을 줄이고, 첨단기술 접목을 통해 국민안전과 긴급 대응체계를 강화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공무원노조 역시 과도한 인력 소모와 인력 피로도를 문제 삼아 개선책 마련을 촉구해온 만큼 정부와 노조의 협력정책이 실질적인 변화를 불러올지 이목이 쏠린다.

 

정부는 당직근무 효율화 방안 구체화에 나서는 한편, 연내 간담회와 실무협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정치권은 당직제도 개편 논의가 공직사회 전반의 근무환경 변화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최동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인사혁신처#공무원노조#당직근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