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수령 주식 433억 원 지급”…예탁결제원, ‘찾아주기 캠페인’에 금융복원 효과
한국예탁결제원이 지난 9월 1일부터 10월 2일까지 5주간 상장기업 10곳과 함께 진행한 ‘2025년 미수령 주식 찾아주기 집중 캠페인’을 통해 총 2,135명의 주주에게 약 433억 원의 미수령 주식과 배당금을 찾아준 것으로 집계됐다. 미수령 주식 캠페인 활성화로 그간 실명번호 오류, 사망 등으로 권리를 찾지 못했던 국민이 숨은 자산을 되찾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서울에 거주하는 60대 A씨는 1980년대 근무한 회사 우리사주를 실명번호 오류로 오랜 기간 받지 못하다가 이번 캠페인으로 약 3,500만 원 상당의 주식과 배당금을 돌려받았다. 경기도의 40대 B씨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 상장된 비상장 주식을 확인해 2억 원대 성과를 거두었고, 60대 형제 C씨와 D씨도 총 1억 원가량을 수령하는 등 다양한 사례가 이어졌다.

이번 캠페인은 단순 홍보를 넘어 ‘포용적 금융복원 프로젝트’로도 평가받았다. 예탁결제원은 행정안전부와 협력해 비실명 주주와 우리사주조합 주주 등을 대상으로 실제 거주지를 파악하고, 주식 711만 주를 전달했다. 금융권에서는 장기간 장부에만 머물던 숨은 자산이 실수령자에게 돌아가며, 가계경제의 긍정적 순환 효과가 점차 확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캠페인과 같은 금융독려 정책이 국민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고, 그간 정보 사각지대에 있던 주주의 재산권 회복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유통업계와 금융기관에서도 미수령금 통지 시스템 개선, 정보 연계 확대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예탁결제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사각지대 국민의 자산권 보호를 위한 캠페인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과거 유사 캠페인과 비교할 때, 주주별 지급 금액과 대상이 대폭 확대된 점도 특징이다.
향후 정책 방향은 미수령금 관리 체계 강화, 정보 기반 실명 확인 절차 정비 등 제도 개선 흐름에 좌우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