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합연습, 北 겨냥 아냐”…통일부, 김정은 비난에 정면 반박
한미연합연습을 둘러싸고 통일부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첨예하게 맞섰다. 북한 수장의 직접 비판이 이어지자, 우리 정부도 방어적 성격을 명확히 밝혔다. 남북 긴장 고조라는 양측의 공방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19일 통일부 당국자는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정은 위원장이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 연습을 “가장 적대적이고 대결적”이라고 비난한 내용에 공식 입장을 내놨다. 통일부는 “한미연합연습은 북한을 공격하거나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려는 의도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고 반박했다. 이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방어적 성격의 훈련”이라고 거듭 말했다.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한미연합훈련을 문제 삼았다는 점에 대해 통일부는,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이미 지난 8월 14일 한미연합훈련 입장을 밝힌 바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당시 김여정 부부장은 “훈련 조정은 평가받을 일이 아니다”라며 “헛수고가 될 뿐”이라고 주장했었다.
북한 내 대남 조직 변화와 관련해서도 정부 해석이 나왔다. 통일부는 최근 노동당 통일전선부가 '노동당 중앙위 10국'으로 이름만 바꾸고 조직은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전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제3국인을 통해 통일전선부 간판은 없어졌지만 건물과 인원은 변함 없다”는 설명을 전했다.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해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 2국가 관계’로 규정한 뒤 대남 조직을 해체했다고 밝혔으나, 실제로는 이름만 바꾼 채 실질적 조직은 존속하고 있다는 것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김영철 고문과 리선권 10국장이 공개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점에서 노동당 10국의 조직 위상은 큰 변화가 없다”고 평가했다.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등 다른 대남기구의 존속 여부에 대해서는 “북한 매체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어 확인할 정보는 없다”고 부연했다.
이날 정치권은 한미연합연습의 실질적 의도와 북한의 연속된 대남 비난을 두고 촉각을 곤두세웠다. 통일부는 향후 북한이 추가 도발성 발언이나 행동에 나설 경우에도 단호한 입장을 견지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