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티맵에서도 관광주민증”…행안부, 민간앱 서비스 확대 → 지역관광 활성화 신호탄
IT/바이오

“티맵에서도 관광주민증”…행안부, 민간앱 서비스 확대 → 지역관광 활성화 신호탄

신유리 기자
입력

디지털 관광주민증 서비스가 민간 앱에서도 본격 열리며 지역관광 활성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예고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지금까지 한국관광공사 '대한민국 구석구석' 앱에서만 이용됐던 디지털 관광주민증 서비스를 29일부터 티맵 등 민간 앱으로 개방한다고 밝혔다. 하반기에는 i-ONE뱅크, KB스타뱅킹 등 금융앱에서도 단계적으로 이 기능이 지원된다. 업계에서는 이번 확장을 지역관광 및 공공데이터 활용 경쟁의 분기점으로 본다.

 

이번 조치는 인구감소 지역의 관광수요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정부가 도입한 '디지털 명예 주민증'으로, 신청자가 지정 지역의 관광주민증을 취득해 방문 시 식음료, 숙박, 체험, 입장 등 다방면에서 할인 혜택을 받는 방식이다. 이전에는 전용 공공앱에서만 신청과 사용이 가능했으나, 이제는 티맵 등 민간 플랫폼에서 QR코드 제시만으로 각종 혜택을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다수 사용자를 보유한 내비게이션·금융 앱에 접목됨으로써 접근성과 서비스 확장성이 크게 높아졌다.

이용자가 주로 이동 경로 안내나 금융거래에 활용하는 앱에서 편리하게 관광주민증을 발급받고 지역 내 제휴 시설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티맵을 활용할 경우, 사용자는 별도 공공앱 설치 없이 운전 중 경로 안내와 동시에 지역 할인정보까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실효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이처럼 공공데이터를 민간 플랫폼에 융합해 혜택을 제공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일본은 교통앱과 연계된 지역 관광패스 시스템이 정착됐고, 유럽도 도시별 디지털 시민카드 기반 관광 서비스가 확장 중이다. 디지털 관광주민증 서비스가 민간 앱과의 연계를 늘리며, 이용자 편의와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모델로 주목받는 이유다.

 

행안부는 단계적 서비스 확산과 함께 개인정보, 보안, 인증 측면의 준수 기준을 지속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동시에 소상공인 참여 확대 등 지역경제 참여주체 저변도 넓힌다. 임정규 행안부 공공서비스국장은 “디지털서비스 개방 확대와 민간 플랫폼 연계를 더욱 진전시켜, 국민 체감이 큰 공공서비스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민간 IT플랫폼에서 공공서비스가 실시간으로 제공되면 이용률 제고는 물론, 지역상권 회복에도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업계는 이번 서비스 모델이 실제 국내 관광 시장에 안착할지 주시하고 있다.

신유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행정안전부#티맵#디지털관광주민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