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사면으로 화해 시대 열자”…조계종 총무원장, 이재명 대통령에 특별사면 서한 전달
‘조국 사면’ 문제를 두고 정치권과 시민사회, 종교계까지 목소리가 모아지고 있다. 28일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에 대한 특별사면을 요청하는 서한을 대통령실에 전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갈등과 화해의 정치적 수면 위가 다시 요동치고 있다.
진우스님은 서한에서 “부처님의 대자대비 정신을 따라 조 전 대표에 대한 사면과 복권을 간절히 청한다”고 밝히며, 조국 전 대표가 국민과 가족의 품으로 돌아와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국가 혁신에 동참할 수 있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또 “이번 사면이 정치적 타산의 산물이 되지 않고 분열을 넘어선 대화, 갈등을 넘어선 공존의 상징이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진우스님은 “서로 손을 맞잡고 나아가는 ‘파수공행’의 정신으로 상생과 화해의 새 시대를 여는 대통령이 돼 달라”고 청원 배경을 설명했다.

조 전 대표의 사면을 촉구하는 요구는 종교계 외에도 정치권에서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은 27일 페이스북을 통해 “조 전 대표와 가족은 이미 죗값을 혹독하게 치렀다”며 사면을 거듭 건의했다. 강 의원은 “정치를 하지 않았다면, 혹은 검찰 개혁을 외치지 않았다면 이런 일을 겪지 않았을 것”이라며 “이재명 대통령 역시 정치 검찰의 표적 수사로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
우원식 국회의장도 이달 9일 조 전 대표를 직접 면회한 사실이 전해지며 정치권 차원의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지난 10일에는 박상기 전 법무부 장관 등 서울대 등 법대 교수 34명이 서명한 사면 탄원서가 대통령실에 제출됐다.
이처럼 사면 요구가 각계로 확산되는 분위기지만, 대통령실은 신중한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27일 브리핑에서 “조 전 대표에 대한 특별사면 논의는 이뤄진 바 없으며, 사면권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으로 최종 결정 사안”이라고 답했다.
사면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여야 정치권과 시민사회 등 각계 주장도 거세지고 있다. 한편, 청와대와 국회 모두 사면 문제의 향배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정치권은 조 전 대표에 대한 여권의 신중 기류와 사회 각계의 사면 요구가 정면 충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