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DX 선도함, HD현대중공업 수의계약 유력”…방사청, 업체 갈등 속 결정 임박
한국형 차기구축함(KDDX) 사업 방식을 두고 방위사업청과 조선업계 양대 기업인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1년 넘게 지연된 대형 국책사업의 사업자 선정 방식을 두고 업계의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방위사업청이 HD현대중공업과의 수의계약 추진 쪽으로 무게를 싣고 최종 결론을 앞두고 있다.
12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방위사업청은 오는 18일 사업분과위원회에서 ‘KDDX 상세설계 및 선도함 건조’ 사업 방식 결정을 논의한다. 이어 30일에는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최종 사업 방식을 확정할 예정이다. 방위사업청은 함정 사업 연속성과 전문성을 고려해, 기본설계를 수행해온 HD현대중공업과 수의계약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경쟁업체인 한화오션은 경쟁입찰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해 왔다. 그러나 방위사업청은 법률 검토와 시장 의견 수렴 결과, 수의계약이 더욱 사업 경쟁력에 적합하다고 평가했다. 방위사업청은 최근에도 국회 국방위원회에 이같은 방침을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KDDX는 선체와 이지스 체계를 모두 국내 기술로 건조하는 첫 국산 구축함 사업으로, 총 6척에 사업비는 7조8천억원에 이른다. 애초 2023년 12월 기본설계 완료 후 지난해 상세설계와 선도함 건조에 돌입할 예정이었지만,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의 법적 다툼 및 과열 경쟁으로 사업이 1년 이상 표류해왔다.
방위사업청의 결론이 임박하면서, 업계 내에서는 수의계약 방식이 관행에 부합한다는 측과 경쟁체계가 필요하다는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국산화 기반의 KDDX 사업에서 안정적 추진이 우선이라는 명분과 공정경쟁의 가치가 충돌하는 사례”라고 해석했다.
업계와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방위사업청과 국회는 이달 30일까지 사업자 선정 방식을 확정할 계획이다. 향후 방추위 결정에 따라 KDDX 사업의 추진 속도와 함정 산업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