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프라, 국가 SOC로”…삼성SDS 데이터센터 투자세액 공제 확대 신호
AI 데이터센터가 차세대 국가 사회간접자본(SOC)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국정기획위원회가 삼성SDS 상암 데이터센터를 방문해 AI 인프라산업의 정책 지원 방향을 논의했다. 글로벌 기술 패러다임이 AI 중심으로 재편되며, 막대한 컴퓨팅파워와 고성능 서버 등 데이터센터가 AI 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가적 투자 확대와 함께 민간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등 조세 혜택을 국정 현안으로 반영하겠다는 공식 입장도 나왔다. 업계 내부에서는 현행 전력계통평가 운영 미숙, 인허가 지연 등 데이터센터 건설의 심각한 난관이 지적됐으며, 전력 확보 문제 해결을 위한 규제혁신 요구가 거세졌다.
국정기획위원회 AI TF와 규제합리화 TF는 2일 삼성SDS 상암 데이터센터를 찾아, 고성능 GPU 서버, 대규모 스토리지, 친환경 냉각 시스템 등 핵심 인프라 운영현황을 직접 점검했다. 이어진 간담회에서는 데이터센터 산단 전력 수급, 인허가 절차 간소화, 건설 특구 지정, 특별법 제정 등 업계의 제도 개선 요구가 논의됐다. 특히 데이터센터를 ‘국가 SOC’로 인식해 투자 확충과 세제지원, 범정부 컨트롤타워 구성이 국정과제로 제시됐다.

데이터센터는 단순 데이터 저장·처리 시설을 넘어 대규모 AI 모델 학습, 인공지능 서비스 R&D의 필수적인 연산 인프라로, 산업 전체의 기술 경쟁력을 좌우한다. AI 고속도로 구축 등 현 정부의 공약 실천과 직접 연계된다는 점에서 업계는 제도적 진입장벽 해소, 실효성 있는 투자 유인책 마련을 촉구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미국, 유럽 등지에서 AI 데이터센터 증설과 관련한 세제완화, 전력인프라 지원 등 경쟁적 정책이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 역시 ‘차세대 AI 3강’ 도약을 위해 데이터센터 정책적 무게가 한층 커지고 있다. 간담회에서는 “기업이 전력이 풍부한 곳을 찾아가는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한 집적특구 등이 필요하다”는 현장 목소리도 나왔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번 현장 간담회 결과를 토대로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 AI 인프라 투자 세액공제 확대, 데이터센터 전력수급 규제 개선 등을 세부 국정과제화할 예정이다. “AI 인프라 확충은 AI 산업 글로벌 경쟁력의 핵심”이라는 총평과 함께, 전문가들은 “법·제도 정비와 민간 유인책 병행 없이는 데이터센터 기술 발전도 한계에 직면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계에서는 AI 데이터센터 정책이 실제 실행 단계로 이행될지, 이번 규제·세제 개편이 AI 인프라 경쟁력의 전환점이 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