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일가 압수수색서 경찰 인사 문건 발견”…김동권 경기북부청장 자체 조사 착수
정치권을 둘러싼 긴장감이 다시 고조됐다. 김건희 여사 일가의 금고에서 경찰 인사 관련 문건이 발견된 사실이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공개되며, 김동권 경기북부경찰청장이 신속한 자체 조사를 약속했다. 여야 충돌이 이어지는 가운데 경찰 내부 정보 유출 의혹에 대한 진상 규명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김동권 경기북부경찰청장은 21일 오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진행한 경기남부·북부경찰청 국정감사에서, 김건희 여사 특별검사팀이 김 여사 일가 압수수색 과정에서 경찰 인사 관련 문건을 확보한 정황에 대해 “아직 사실관계를 조사하지 않았다”며 “자체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7월 실시된 압수수색에서는 총경 2명과 경정 2명의 이력이 포함된 자료, ‘경기북부지방경찰청 요직을 맡으면 잘 수행할 것’이라는 문구가 담긴 문건이 발각됐으나, 실물 확보까지 이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애초 이 문건의 존재가 드러난 것은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의 국감 질의가 결정적 계기가 됐다. 윤건영 의원은 “최근 특검팀이 김건희씨 모친 최은순씨의 금고에서 경찰 4명의 이력 등이 담긴 문건을 발견했다”며, 권력형 인사개입 의혹을 강하게 제기했다. 이어 “100번 양보하더라도 최은순씨가 어떻게 경찰 프로필을 가지고 있겠느냐”, “자기들이 제출하지 않았다면 경찰에서 준 것이냐”며, 실제 정보 유출 경위와 진상 규명을 집요하게 압박했다.
해당 사안이 공개되면서 정치권 반응도 엇갈렸다. 더불어민주당 측은 신속한 사실관계 확인과 연루자 책임 추궁을 촉구하며, “경찰 조직의 투명성과 신뢰도가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를 밝혔다. 이에 맞서 국민의힘은 “아직 사실관계 확인이 선행돼야 한다”, “정치공세로 몰아가선 곤란하다”며 신중 기조를 유지했다.
경찰 인사 정보가 민간으로 유출됐을 가능성은 경찰 조직은 물론, 전체 공공 조직의 신뢰에도 직결된 문제라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형사처벌 여부와 별개로, 인사 시스템의 투명성과 공정성 강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앞으로 경기북부경찰청은 논란이 된 문건 관련 사실관계 조사에 본격 착수할 전망이다. 한편, 정치권도 추가 해명과 재발 방지책 등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