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비전향장기수 안학섭, 러시아 경유 북한 송환 추진”…러시아 “남북 승인 필수” 입장

김서준 기자
입력

비전향장기수 안학섭 송환을 둘러싼 외교적 긴장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송환을 주도하는 시민단체와 러시아, 통일부 등 한국 정부 당국이 복잡하게 맞물리면서, 남북 승인의 필요성을 러시아 측이 재차 강조한 점이 주목된다.

 

22일 안학섭선생송환추진단에 따르면, 러시아는 최근 안학섭(95) 씨의 러시아 경유 북한 송환 요청에 대해 “상황을 인지하고 있다”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주한 러시아대사관은 20일, 21일 각각 이메일과 등기를 통해 송환추진단의 면담 요청에 대한 답변을 전달했다.

로만 비코브 총영사 명의의 이메일에는 “안학섭 선생은 러시아와 대한민국 간 유효한 양자 협정에 따라 일반적인 순서로 러시아 연방을 방문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알려드린다”는 내용이 담겼다. 그러나 러시아대사관은 “가장 중요한 문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관계 당국 승인을 받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사관 측은 이어 “이는 남북 관계의 문제이며 러-한 양국 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대사관의 업무 범위가 아님을 이해해 주시길 바란다”고 부연했다.

 

비코브 총영사는 또, “블라디보스토크의 주러시아 대한민국 총영사관 직원들이 기술적 문제 해결에 필요한 모든 지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러시아가 안 씨의 입국 자체에 제한을 두지 않는 대신, 송환 성사를 위해선 남북 당국의 공식 승인이 우선임을 시사한 셈이다.

 

송환추진단은 이날 오후 통일부 당국자와 만나 송환 실현 방안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추진단은 16일 기자회견을 통해 인천에서 블라디보스토크를 거쳐 평양으로 향하는 방안과, 중국 베이징 경유 방안을 각각 제안한 바 있다. 이에 앞서 14일에는 주한 러시아대사관과 주한 중국대사관, 통일부와 외교부에 각각 협조 공문을 보냈다.

 

다만 주한 중국대사관에서는 아직 구체적인 답변이 오지 않은 상황이다. 송환을 위한 외교 네트워크가 점차 촘촘해지는 가운데, 남북관계 당국이 어떤 입장을 밝힐지에도 시선이 쏠린다.

 

정치권은 안학섭 씨의 송환을 둘러싼 외교적, 인도주의적 쟁점을 두고 다양한 주장과 해석을 내놓고 있다. 정부는 송환추진단 등과의 소통을 지속하며 공식적인 송환 절차를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 이번 사안이 남북관계는 물론 한러, 한중 외교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향후 각국 조율 과정과 정부 입장 변화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안학섭#러시아대사관#통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