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엡스타인 파일에 트럼프 이름 수차례”…미국(USA), 정계 충격과 긴장 고조
현지시각 기준 24일, 워싱턴에서 미국(USA)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제프리 엡스타인 관련 수사 파일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실명이 여러 차례 등장한다”고 잇따라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 이름이 검토 대상 명단에 포함됐다는 소식이 연일 전해지며, 미국 정계와 사회 전반에 민감한 파장이 일고 있다. 이번 사안은 권력층, 피해자 보호, 수사 기록의 투명성 등 얽힌 현안 속에서 미국 정치권의 긴장감을 다시 부각시키고 있다.
WSJ에 따르면, 지난 5월 백악관에서 팸 본디 법무부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해당 파일의 실명 언급 사실을 직접 보고했고, 법무부 내부에서도 트럼프를 포함한 복수의 유명 인사가 거명됐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법무부는 “실명이 기록됐다는 사실이 불법 행위 연루로 곧장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 실제 엡스타인 파일에는 피해자 신상, 미성년자 자료 등 민감한 정보가 다수 포함돼 있어, 추가 공개 계획은 없다는 점도 재확인됐다.

이 같은 보도에 트럼프 대통령 측은 전면 반박에 나섰다. 백악관 대변인 스티븐 청은 24일 “이번 소동은 민주당과 진보 언론이 유포한 가짜뉴스”라며 정치적 음모론을 주장했다. 트럼프 개인도 최근 유사 보도에 대해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하는 등, 논란 확산 저지에 총력 대응 중이다. 법무부는 “불법 행위의 근거가 없는 명단 언급만으로 의혹을 단정해선 안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엡스타인 사건은 2019년 엡스타인 사망 후에도 미국 사회의 권력 엘리트 네트워크와 공공기관 책임, 피해자 보호 문제 등 첨예한 공론장을 이어왔다. 미공개 파일의 전면 공개 요구와 사생활·수사 보안 간 균형 문제는 여전히 풀리지 않은 숙제로 남아 있다. 뉴욕타임스, CNN 등 주요 외신들도 “명단 기록만으로 혐의를 입증한다는 오해가 퍼지고 있다”며 신중한 접근을 촉구하고 있다.
향후 미국(USA) 법무부의 대응은 엡스타인 논란의 향방에 중대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추가 공개 압력이 커질 수 있지만, 피해자 보호와 사회적 신뢰 회복 사이에서 당분간 공방이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번 엡스타인 파일 파문이 미국 정치 시스템과 권력층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