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당 해체 발언 이어가”…정청래, 절대다수 여당 출범에 강대강 대치 현실화
정치적 충돌 지점에 다시 불이 붙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신임 대표의 선출로 절대다수 여당과 제1야당 국민의힘이 내란 책임 공방을 고리로 맞붙으면서, 여야 관계가 급랭하고 있다. "내란당 해체"를 외쳐온 정 대표의 강경 행보에 더해, 쟁점 법안이 본회의에 상정되며 정국 전반이 격랑에 휩싸이고 있다.
2일 오후 5시, 더불어민주당의 차기 당 대표 경선 결과 정청래 의원이 집권 여당의 새 사령탑으로 선출됐다. 정 대표는 경선 기간 내내 “싸움은 내가 할 테니 대통령은 집무에 전념하시라”, “내란 세력과 타협·협치·거래는 없다”, “내란당을 해체해야 한다”고 거듭 발언해왔다. 여야 대치의 중심에 서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셈이다.

이번 당대표 경선에서 박찬대 의원 등 일부 후보가 협치론을 외쳤음에도, 강경론이 당원들로부터 더 많은 지지를 받은 점도 향후 정청래 대표 체제의 노선을 가늠케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절대다수 의석을 등에 업고 이른바 ‘방송3법’, ‘노란봉투법’, ‘상법 개정안’ 등 핵심 쟁점 법안을 4일 국회 본회의에서 단독 처리할 계획이다.
국민의힘은 관련 법안에 filibuster(합법적 의사진행 방해)에 돌입하겠다는 입장이다. "전광석화처럼 법안을 해치우겠다"는 정 대표의 발언이 공개된 만큼, 첫 본회의부터 여야 격돌 양상이 불가피하다는 예측이 나온다. 정 대표는 앞서 국회 법사위원장 시절에도 다수 의석을 활용해 ‘3대 특검법’ 법사위 통과를 주도한 바 있다.
검찰 개혁안, 언론 및 사법 개혁안 역시 민주당이 ‘검수완박 시즌2’로 추진하고 있으며, 검찰청 폐지·공소청 신설 등 검찰 관련 중대 법안도 추석 전 처리 방침이 재차 확인됐다. 정청래 대표는 “검찰청을 폐지하고 중대범죄수사청 출범, 공소청 설치를 비롯한 검찰 4법을 추석 전 반드시 처리하겠다”고 강조했다.
양당 대립은 제도 개혁을 넘어 정치적 상징 싸움으로 확장되는 양상이다. 정 대표는 국민의힘을 ‘내란당’으로 규정하며 위헌정당해산 심판을 요구하는 헌법재판소법 개정안, 내란범 배출 정당 국고보조금 차단, 국민의힘 의원 대량 제명 결의안 등을 연이어 제출했다. 대체로 강경 지지층 결집을 겨냥한 행보로 읽히지만, 민주당 지원을 받는 3대 특검 수사 상황과 맞물려 실제 입법 압박이 커질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은 8월 22일로 예정된 전당대회에서 새 지도부를 선출한다. 당권 경쟁은 ‘찬탄’(탄핵찬성)과 ‘반탄’(탄핵반대) 구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지층 결집에 집중하는 분위기 속에 찬탄 후보가 대표가 될 경우 여야 강경 충돌이 더 심화될 전망이다. 반면 쇄신을 내세운 반탄 후보가 당선될 시에는 협력 여지도 조금은 남을 수 있다. 그러나 정청래 대표는 “나와 맞는 국민의힘 전대 후보는 한 명도 없다”고 선을 그은 바 있어, 협치 가능성에 회의적 시각도 없지 않다.
정 대표가 집권 여당 대표로서 이재명 대통령과의 국정 협력을 위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만큼, 당내 일각에선 지나친 강경 일변도 전략이 대통령과 당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여야 협치를 압박받게 되는 만큼, 정 대표 역시 “야당과 대화하지 않을 수 없다. 다만 무리한 요구나 억지 주장은 거부하겠다”고 언급하며 실용적 자세도 보였다.
이날 국회는 쟁점 법안 처리를 둘러싼 여야의 치열한 대립 속에, 국민의힘 지도부 선출을 앞두고 한치 앞도 내다보기 어려운 승부에 돌입했다. 정치권은 정청래 대표의 강경 행보와 맞물려 향후 정국 주도권을 놓고 전면적 충돌 양상으로 치달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