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곧 대한민국 미래”…김민석 총리, 내각 차원 청년 일자리 총력 선언
청년 일자리 정책을 둘러싼 정치적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김민석 국무총리가 내각 차원에서 청년 취업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력히 천명했다. 서울 강서구 코엑스 마곡에서 21일 개최된 ‘2025 상생협력 채용박람회’ 개막식 현장에서 청년 고용 문제를 놓고 정부의 책임과 의지를 강조하는 총리의 메시지가 전달됐다.
김민석 총리는 “청년의 미래가 곧 대한민국의 미래”라며, 청년들의 성장과 도약 없이는 국가 경쟁력 역시 제고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어 “청년들의 상황이 사실 어렵지 않느냐”며 현실적인 고충에 공감하면서 “한 사회 속에서 기성세대로서 보는 마음이 무겁다”며 깊은 책임감을 내비쳤다. 그는 “청년 한명 한명이 취업하기 위해선 우리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할 것 같다”며, “모든 내각이 한마음이 돼서 청년 일자리 창출에 매진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김 총리는 이재명 대통령의 ‘기업 차원의 청년 채용 확대’ 당부를 언급하며, “삼성, SK, 포스코, 한화 등 주요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채용 계획을 발표하며 화답해 주셨다”고 평가했다. 특히 500여 개 협력사 기업 역시 채용 연대전선에 동참하면서, 정부-기업 간 ‘상생’ 기조가 실질적 채용 확대로 이어지고 있음을 짚었다.
정치권 내에서도 청년 일자리가 정국 최대 현안임을 인정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청년 정책 관련 시민단체는 “정부 재정지원과 기업 역할 모두 중요하다”는 의견을 냈으며, 야권에서는 “정부가 실질적 일자리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여권에서는 “적극적 민관 협력이 국가경쟁력 강화의 지름길”이라며 정부와 기업의 합심을 높이 평가했다.
이번 채용박람회를 계기로 내각과 재계의 청년 고용 공조가 얼마나 성과를 낼지 주목된다. 정부는 주요 기업과 협력사 연대모델을 확대하고, 청년 맞춤형 일자리 정책을 추가로 내놓을 방침이다. 정가에서는 “청년 일자리라는 화두가 내년 총선의 민심을 좌우할 것”이라는 전망도 흘러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