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반도체 팔면 매출 15% 내야”…미국, 엔비디아·AMD 대중 수출에 신설 조건
현지시각 11일, 미국(USA) 정부가 엔비디아(Nvidia)와 AMD(Advanced Micro Devices)의 중국(China) AI 반도체 수출 재허가와 관련된 중대한 신규 조건을 부과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이번 조치는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의 양대 기업이 중국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기로 하면서, 미중 디커플링 심화 속 공급망 재편과 추가 통상 마찰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8일부터 엔비디아의 H20 AI 칩, 곧이어 AMD의 MI308 칩 중국 수출에 대해 수출 허가를 내주기 시작했다. 두 기업은 각각 해당 제품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는 파격적인 조건을 받고, 수출 재개의 길을 열었다. 엔비디아와 AMD 모두 조건 수용을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이번 합의는 미국 정부가 올해 4월부터 AI 반도체의 대중 규제를 강화했던 직후, 정책 선회 차원에서 이뤄졌다. 기존 규제 하에서는 엔비디아의 하향 조정 버전 H20 칩 역시 중국 수출이 중단됐으나, 최근 수출 허가 절차가 재개되면서 새로운 비용 부담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구체적인 납부금 사용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엔비디아는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와 시장 규칙을 준수하겠다”는 입장만을 내놨고, AMD는 별도 입장을 내지 않았다. 업계와 외신들은 해당 납부를 추가 관세의 변형된 형태로 해석하며, 과거 미 행정부의 통상 정책과의 차별성을 지적했다. 이와 관련, 리서치기관 번스타인은 규제 이전 기준으로 올해 엔비디아가 중국 내 1.5만 개 H20 칩 판매를 통해 약 230억 달러(32조 원) 매출을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안보전문가, 일부 상무부 인사 등도 신중한 시각을 보였다. 트럼프 당시 국가안보회의(NSC) 출신 리자 토빈은 “중국이 미국 수출 허가를 전략적 수익원으로 활용하는 전례”라며, “이 방식이 무기 등 다른 민감 품목에 확산될지 우려된다”고 FT를 통해 경고했다.
이러한 신설 납부 조건에 대해 외신도 촉각을 곤두세웠다. 워싱턴포스트는 “미국의 기조 변화가 엔비디아 등 AI 칩 공급망과 기업 수익구조에 전방위 충격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엔 미 행정부의 추가 행정지침, 납부 조건의 지속성, 중국의 대응 전략 변화 등이 글로벌 반도체·AI 산업의 이해관계와 주가, 공급망 구조에 영향을 미치리란 예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미중 전략 경쟁의 또 다른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진단하며, 글로벌 IT 시장도 향후 변화 추이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