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평화로 소통하면 사실상 통일”…정동영 통일부 장관, 교계와 한반도 공존론 강조
통일 개념을 둘러싼 견해차가 다시 부상한 가운데,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평화적 두 국가론’을 공개적으로 제시하며 한반도 공존 방향을 역설했다. 이날 만남에서는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정순택 대주교가 정 장관의 구상에 상당 부분 공감 의사를 표해 정치적 논의에 새로운 동력을 더했다.
23일 정동영 장관은 서울대교구청을 찾아 정순택 대주교를 예방하고, “통일로 가는 과정에서 남북이 평화적인 두 국가로 교류·협력하고, 그 기초 위에 사람과 돈, 물자가 자유롭게 오가면 자유왕래 시대, 사실상 통일”이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법적·정치적 통일 이전에 실질적 교류 확대가 ‘사실상 통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순택 대주교는 이날 대화를 통해 정 장관이 제안한 평화적 두 국가 관계 논리에 “국민 정서상 낯선 부분이 있다”는 현실적 견해를 밝히면서도, “개인적으로 상당히 공감된다”고 입장을 드러냈다. 그는 “지금 통일을 너무 앞세우면 북한에서도 거부감이 있을 수 있다”며, 당장 제도적 통일이 아니라, 평화와 번영을 함께 모색하는 기초 작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정 장관은 “대주교 말씀이 큰 힘이 된다”며 “평화적이라는 점과 통일 과정 자체에 방점이 있다”고 답했다. 이어 “2027년에 한국에서 열리는 가톨릭 세계청년대회가 한반도의 평화에 큰 분수령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특히 서울대교구의 바람처럼 북한 청년들의 실제 참가가 실현되길 바란다는 점을 강조했다.
정순택 대주교는 “소수라도 북한 청년과 함께 할 수 있다면 상징적으로 남북 교류의 물꼬가 되지 않겠느냐”며, 실질적 교류 가능성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이에 정동영 장관은 세계청년대회 계기로 교황의 남북 연쇄 방문 기대도 표명했다. 정 대주교 역시 다양한 경로로 실현 가능성을 모색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정부의 ‘평화적 2국가’ 접근에 대한 현실성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종교계와 협력 확대를 통한 남북 교류 물꼬 트기가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세계청년대회 북측 청년 참가 추진 등 민간·종교 협력 모델을 지속 검토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