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7월 고용 쇼크에 금리 인하설 급부상”…미국, 노동시장 둔화에 월가 긴장
국제

“7월 고용 쇼크에 금리 인하설 급부상”…미국, 노동시장 둔화에 월가 긴장

조보라 기자
입력

현지시각 1일, 미국(USA) 노동부가 7월 비농업 일자리가 7만3천명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기대치를 크게 밑도는 수치로, 최근 들어 노동시장 둔화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주요 자산운용사들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9월 기준금리 0.50%포인트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조기 완화론에 무게를 뒀다.

 

노동부가 공개한 최신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7월 신규 비농업 일자리 증가는 전문가 평균 전망치(10만명)를 크게 하회했다. 뿐만 아니라 5월과 6월 고용 증가 폭도 종전 발표치 대비 25만8천명 하향 수정됐다. 고용시장이 점점 식고 있다는 신호에 월가에서는 “이 정도라면 연준도 금리 인하 압박을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쏟아지고 있다.

미국 7월 비농업 일자리 7만3천명 증가…월가, 9월 금리 0.5% 인하 관측 강화
미국 7월 비농업 일자리 7만3천명 증가…월가, 9월 금리 0.5% 인하 관측 강화

블랙록의 릭 라이더 글로벌 채권 부문 CIO는 “이번 고용지표가 9월 금리인하를 뒷받침할 충분한 증거를 제공했다”며, “노동 시장 내 유휴 인력이 늘거나 일자리 증가가 10만명 이하로 주저앉는 추세라면 연준이 50bp, 즉 0.50%포인트 인하에 나설 수 있다”고 진단했다.

 

연준은 지난해 9월, 유사한 노동시장 침체 신호에 50bp 인하를 단행한 전력이 있다. 그 이후로 기준금리는 4.25~4.50% 구간에서 동결돼 왔다. 그러나 최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9월 회의에 앞서 어느 쪽으로도 결정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이런 가운데 7월 고용지표가 실망스러운 결과를 내놓으면서 금리 동결 예상이 우세하던 시장 분위기는 단박에 뒤바뀌었다.

 

채권시장과 증시 모두 연준의 조기 완화 가능성을 선반영하며 가격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동시에, 고용시장 회복세가 더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커졌다. 뉴욕타임스 등 미국 주요 매체는 “연준의 9월 결정이 금융시장 향방을 가늠할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향후 투자자들은 9월 공개시장위원회(FOMC)와 더불어 다음달 예정된 신규 고용 및 인플레이션 지표를 예의주시해야 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노동시장 악화와 이로 인한 급격한 금리 인하 가능성이 글로벌 자본시장 전반에 파급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국제사회는 연준의 정책 변화와 영향을 면밀히 주목하고 있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연방준비제도#비농업일자리#금리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