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로봇 플랫폼 전환 가속”…로보티즈, 장중 3%대 약세

김서준 기자
입력

로봇 산업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코스닥 상장사 로보티즈가 단기 변동성 속 미래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30일 오전 9시 20분 기준, 로보티즈 주가는 150,000원으로 전일 대비 3.91% 하락하며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 장 초반 고가는 159,200원, 저가는 149,900원까지 등락했으며 현재 약 34만 5,000주가 거래됐다.  

 

로보티즈는 1999년 설립 이후 구동·제어·자율 영역의 독자 기술로 물리 인공지능 로봇 시장을 선도해 왔다. 대표 부품인 ‘다이나믹셀’은 모듈형 구조로 조립 및 활용 편의성을 높여 부품과 완제품 생산을 모두 아우른다. 최근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결합 역량에 AI 워커, 자율주행 로봇 개발을 더해 데이터 기반 로봇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출처: 네이버페이 증권 제공
출처: 네이버페이 증권 제공

로봇 산업 수요 확대와 AI 융합이 글로벌 트렌드로 부상하는 상황에서, 로보티즈의 사업 다각화 행보는 지능형 공장 및 서비스 로봇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부품 내재화, 플랫폼 통합 등 미래 먹거리 확보 경쟁이 더욱 본격화될 전망이다.  

 

반면, 단기 시장 변동성은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외국인 소진율은 6.60%에 머물렀고, 시가총액은 약 1조 9,831억 원으로 집계됐다. 로봇·AI 관련 대형 프로젝트 수주와 실적 개선 여부가 향후 주가 흐름과 시장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산업부는 R&D 투자와 스마트팩토리 정책을 강화하며 로봇 업계 전반의 생태계 조성에 힘을 싣는 모습이다. 로보티즈 역시 AI 기반 사업 확대에 적극 참여하며 업계 내 입지 제고에 나섰다.  

 

김우진 산업기술평가원 연구원은 “로봇의 플랫폼화·소프트웨어 내재화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기술 차별화와 시장 확대의 효과가 지속될 경우 국내 로봇산업의 국제 입지도 기대해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불안정한 증시 흐름 속에서도 플랫폼 전환 전략과 정부 지원 효과가 맞물릴지 주목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로보티즈#ai워커#다이나믹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