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피살 대학생 사건 맞서 정부합동대응팀 급파”…이재명 대통령, 신속 송환 및 공동조사 지시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대상 납치와 감금, 그리고 대학생 피살 사건이 연달아 발생하면서 대통령실과 외교부, 경찰청 등 정부 차원의 대응이 본격화됐다. 관련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오전 직접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정부 합동대응팀을 현지에 급파하기로 결정했다.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이 단장을 맡아 15일 출국할 합동대응팀에는 외교부와 경찰청, 국정원 등 관계부처가 참여한다. 특히 박성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도 현지에 동행, 캄보디아 수사당국과 공동조사 및 구금된 한국인 송환 협의를 신속 진행할 방침이다. 사망한 대학생 사건과 관련해서도 조속한 부검 및 시신 운구가 추진된다.

이날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은 "정부는 아세안 국가 내에서의 우리 국민 납치·감금 문제를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캄보디아 수사 당국에 현재 63명이 구금 상태임을 확인했으며, 전원을 국내로 송환하겠다는 방침이 확고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들을 위한 특별항공편 투입 등 신속 귀국 방안도 협의 중이다.
정부와 캄보디아 양국은 ‘한-캄 스캠 합동대응 태스크포스(TF)' 신설에도 합의했다. 경찰청이 주도하는 국제공조협의체를 통해 아세안 지역 범죄 예방 및 협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김진아 외교부 2차관 역시 "캄보디아 내 코리안 데스크 설치를 추진하고 있으나, 현지 정부의 공식 답변을 기다리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여행 경보단계도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정부는 캄보디아 내 주요 범죄 지역을 4단계인 ‘여행금지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외교부는 신임대사 부임 전까지 본부 대사를 파견·체류시키고, 경찰 주재관 인력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해외 취업 알선 광고에 대한 감시와 처벌을 강화하는 한편, 국민 대상 범죄예방 홍보도 대폭 확대된다.
한편 국내에서는 10월 중 대국민 특별신고 기간을 운영해 관련 피해 접수를 독려한다. 지난 한 달간 캄보디아 내 우리 국민 대상 납치와 감금, 각종 스캠 사건이 잇달아 터지면서 국민적 불안이 커지고 있는 만큼, 정부는 근본적 대응책 마련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국무회의에서는 캄보디아 등 아세안 국가 내 한국인 피해의 심각성이 지적됐으며, 정치권 안팎에서도 후속 대책 마련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정부는 향후 상황에 따라 여행금지 지역 확대와 구금자 전원 송환 등 추가 대응을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