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부처가 힘 합친 AX 확산”…정부, AI 산업전환 ‘원팀 전략’ 본격화

신민재 기자
입력

AI 산업전환(AX)이 제조업 등 전통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필수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가 ‘AI 3대 강국’을 목표로 내세운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산업기술의 인공지능 도입, 사업화, 생태계 조성을 위한 원팀 전략에 공식적으로 착수했다. 업계와 정책 당국 모두 ‘AX 경쟁’이 국가 산업의 존폐를 좌우할 분기점에 다다랐다는 공감대에서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15일 산업부, 중기부와의 업무 협약식에서 “AI 모델이나 인프라만으론 부족하다”며 “현장 데이터와 성공 사례가 축적될 때만이 진정한 산업 인공지능 전환이 이루어진다”고 강조했다. 기존에는 필수 인프라 구축과 모델 개발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이번에는 실제 산업 적용과 기업 현장 활용에 방점이 찍혔다. 

이번 3개 부처 업무협약은 제조 분야 전체에 AI를 도입해 부가가치를 높이고, 특히 중소·소상공인까지 AX의 혁신이 실질적으로 파급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의 폭과 깊이를 확대한 데 의미가 있다. 주요 추진 방향에는 산업별 AX 역량 강화와 핵심기술 내재화, 벤처·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현장 맞춤형 기술 사업화, 지역 전략 산업군 중심의 AX 생태계 조성, 그리고 각종 국정과제의 착실한 이행 지원까지 포함됐다. 

 

기존 관료조직의 분절성 문제도 지적됐다. 임문영 국가AI전략위원회 상근 부위원장은 “부처 간 칸막이식 업무가 AX 확산의 걸림돌이었다. 이젠 AI 시대에 맞춰 연합적·통합적 구조로 패러다임이 완전히 바뀌어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이번 협약은 부처별 기능 배분을 넘어 데이터, 기술, 사업화, 현장 지원까지 긴밀히 연결되는 ‘원팀’ 작업을 공식화했다.

 

또한, 정책부처의 수장이자 동시에 대기업 출신인 각 부처 장관들이 AI 산업전환에 대한 절박함을 공유한 점도 차별적이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AX에 실패할 경우 한국 산업 전체가 구조적으로 뒤처질 수 있다는 위기 의식”을,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중기·소상공인들이 왜, 어떻게 AX를 해야 하는지 체계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협력 체계를 뒷받침할 현안 과제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 산업현장 기반 빅데이터 확보, AI 활용 현장 기술 실증 및 결과 확산, 소규모 기업 내 AI 적용 맞춤형 플랫폼, AI기반 제조공정 최적화 등 AI 기술의 산업 내 실질적 내재화가 핵심 과제로 꼽힌다. 이를 위해 제조 현장 중심의 AX 전문 인재 육성과 국가AI전략위의 ‘제조TF’ 등 지원조직도 가동될 예정이다.

 

글로벌 움직임도 빨라졌다. 미국, 독일, 일본을 위시해 유럽연합(EU) 등 주요국 역시 제조혁신, 디지털전환과 AI 연계를 핵심 성장전략으로 삼고 있다. 데이터 활용 규제나 윤리 이슈, 현장 확산 난점 등 해결 과제 역시 비슷하다. 

 

업계 전문가들은 “정부 부처 간 부문별 연합과 민간 현장 데이터의 연결 속도가 AI 산업 대전환의 성패를 가를 것”이라고 평가한다. 산업계는 앞으로 이 협력 모델과 정책 체계가 실제 시장으로 안착할지 주시하고 있다.

신민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배경훈#ai산업전환#산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