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가 유방암 3D 진단까지”…루닛, 아큐민과 미국 전역 공급 확대
자동차

“AI가 유방암 3D 진단까지”…루닛, 아큐민과 미국 전역 공급 확대

박진우 기자
입력

3차원 영상 기반 의료 인공지능(AI) 진단 기술이 미국 영상의학 산업의 진단 패러다임을 새롭게 바꾸고 있다. 루닛이 개발한 AI 유방암 진단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DBT’가 미국 아큐민과의 대규모 공급 계약을 통해 미국 전역 1000여 개 의료기관에 도입된다. 업계는 이번 공급을 영상진단 시장 내 ‘AI 진단 보편화’ 경쟁의 분기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루닛은 19일(한국시간) 미국 47개 주에서 영상진단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한 아큐민과, 3차원 유방단층촬영술(디지털 브레스트 토모신세시스·DBT) 기반 AI 분석 솔루션인 ‘루닛 인사이트 DBT’ 공급 계약을 공식 발표했다. 이 제품은 일반 유방촬영보다 더 세밀하게 3차원 영상을 분석하며, 암의 위치와 병변 특성을 의료진에게 자동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탑재했다. 루닛은 미국 내 이미징센터 다수에 솔루션을 공급해왔지만, 전국 단위 네트워크 기업 아큐민과의 이번 파트너십으로 미국 전역 환자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루닛 인사이트 DBT는 AI가 각종 유방 조직 영상의 미세 병변을 기계학습(딥러닝) 기반으로 판독하며, 특히 DBT 환경에서 기존 2D 판독 대비 검출 민감도를 수십 퍼센트 향상했다고 평가받는다. 기존 유방촬영식 2D 영상은 조직 겹침 등으로 암 조기진단 정확도가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는데, 이번 솔루션 도입으로 판독 효율 및 정확도 모두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아큐민은 전국 150여 이미지센터와 1000개 이상 파트너 의료기관에 영상진단·암치료 서비스를 공급 중이며, 자체 시설을 갖추기 어려운 병원들에 아웃소싱 방식으로 첨단 진단 기술을 제공한다. 아큐민 나시르 시디키 CMO는 “루닛 AI 솔루션의 임상 데이터와 현장 검증 성능이 환자·의료진의 실효성을 크게 높일 것”이라며, “서비스 만족도가 한 단계 도약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현재 미국 의료계는 영상의학과 전문의 인력난과 시설 구축 비용 부담, 진단 소요 시간 장기화라는 구조 문제에 당면해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공급으로 한정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진단의 정확도와 접근성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독일 내 머크, 미국의 구글헬스 등이 AI 기반 영상진단 상용화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한국 ICT 바이오기업의 미국 본격 진입 사례로도 평가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이미 AI 영상진단 소프트웨어의 단계별 허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아큐민의 진료 품질 제고 전략·환자 접근성 확대와 맞물려 관련 산업의 고도화를 유도하고 있다. 국내외 업계와 병원들은 “AI 기반 영상진단의 상용화 시점이 암 조기진단 산업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산업계는 이번 루닛·아큐민 AI 진단 공급이 실제 시장에 빠르게 안착해 현장 진료 패러다임을 바꿀지 주시하고 있다. 기술 진보와 진단 서비스 혁신의 균형이 글로벌 영상의학 산업 발전의 핵심 조건으로 부각됐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루닛#아큐민#루닛인사이트db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