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입국 불안 커져”…강훈식, 귀국 근로자 처우 지원 강조
미국 현지 구금에서 풀려 전세기로 귀국한 협력업체 직원들을 둘러싸고 재입국 거부감이 커지고 있다. 체포 과정의 충격, 비자 절차 혼선, 그리고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불안은 현장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12일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 귀국 근로자와 가족들의 목소리에서는 "이제 미국에 다시 가고 싶지 않다", "재입국 논의도 없다"는 우려가 쏟아졌다.
현장에 있던 협력업체 소속 한 직원은 "이제 (미국에) 못 갈 것 같다"며 심경을 전했다. 체포 당시 미국 당국이 근로자들에게 총구를 겨눴다는 이야기까지 전해지면서 공포감도 커졌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협력업체 관계자는 "아직 출국 논의 자체가 없다"며 "지금은 안전한 귀가만이 최우선"이라고 밝혔다.

일부 가족들은 현행 ESTA(전자여행허가) 기반 무비자 출장 관행과 비자 제도 보완의 필요성을 호소했다. 한 근로자는 "회사에서 여행자 비자가 있으면 충분하다고 해서 미국에 갔다"고 말했다. 한 가족 역시 "관행적으로 회사에서 비자를 그렇게 받았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항에서 국민을 맞은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미국 재입국은 당장 가능한 분이 일부 있는 것으로 LG엔솔에서 준비하고 있다는 말을 들었다"고 하면서, "당분간 귀국 근로자들은 심리치료 등 회복 시간이 필요해 회사 차원에서 바로 출국을 권고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그는 재입국 절차에 관해 "정부가 불이익을 막을 것이라 하지만, 구체적 방안이 없어 답답하다"는 가족들의 호소에도 귀를 기울였다.
같은 날 박윤주 외교부 1차관도 "비자 문제는 해석 차가 있어 한미 양국이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이로써 비자와 일 관련 입국 허가 범위를 둘러싼 구체적 협의가 예고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기업과 정부, 외교 당국이 재발 방지를 위해 기업 출장 비자 관리와 지원 제도를 구체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앞으로 정부는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 사태 방지책과 실효성 있는 근로자 처우 지원 방안을 추가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