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 논의”…황금연휴 기대, 내수 활성화 따져본다
사회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 논의”…황금연휴 기대, 내수 활성화 따져본다

김서준 기자
입력

10월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며, 긴 황금연휴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올해 10월에는 3일 개천절을 시작으로 추석 연휴, 대체공휴일, 한글날까지 휴일이 이어지면서, 10일마저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연속 10일씩 쉴 수 있는 ‘최장 연휴’가 만들어질 전망이다.

 

정부는 그동안 내수 활성화와 국민 휴식권 보장 등을 이유로 임시공휴일 지정을 논의해왔다. 그러나 지난 1월 27일 임시공휴일 효과가 크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오며, 올해 초 정부는 적극적 입장에서 한걸음 물러섰다. 국회입법조사처 역시 최근 보고서에서 “임시공휴일의 내수 진작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실제로 올해 설 명절에 임시공휴일을 붙여 연휴를 6일로 늘렸지만, 국내관광이나 내수에 직접적인 긍정 효과는 뚜렷하지 않았다는 분석도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민생회복 소비쿠폰 발급과 같은 정책이 추진되면서, 임시공휴일이 내수 진작 촉진에 보조 역할을 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경제계와 시민단체는 “추가 연휴가 소비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일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임시공휴일 지정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라 국무회의 의결과 대통령 재가를 거쳐 확정된다. 통상 결정까지 최소 2주 이상의 여유가 필요하므로, 정부는 다음 달 26일까지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을 공식화해야 실제 적용이 가능하다.

 

시민들 사이에서는 “연휴가 길어지면 가족과 시간을 더 보낼 수 있다”와 “반면, 직장과 산업현장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등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업계에서는 황금연휴 효과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상황이다.

 

정부가 내수 진작 효과와 실질적인 국민 만족을 모두 충족시킬 방법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임시공휴일 도입과 관련한 당국의 공식 결정은 이달 말쯤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임시공휴일#황금연휴#내수진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