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피지컬 AI 혁신”…현대차그룹·엔비디아, 30억달러 공동 투자→미래 공장·모빌리티 대전환

박선호 기자
입력

현대차그룹이 반도체 업계의 거인 엔비디아와 총 30억달러에 달하는 피지컬 AI 분야의 대규모 전략적 투자를 발표하며, 자율주행, 스마트팩토리, 로보틱스 등차세대 모빌리티를 향한 미래 비전 실현에 분수령을 맞았다. 두 기업은 기술적·자본적 연대로, AI의 물리적 행동과 제조 혁신을 아우르는 실체적 협력 단계를 천명함으로써 시장 권력 재편의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AI 생태계 주도권의 향방과 더불어 대한민국 공장·차량 혁신 모델이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협력에서 현대차그룹과 엔비디아는 단순 플랫폼 도입을 넘어, AI의 시각·언어·동작 통합 기술(VLA)과 온디바이스 첨단 하드웨어의 융합, 그리고 제조, 자율주행, 데이터센터 확장을 겨냥한 실질적 투자를 단행한다. 5만 장 규모 엔비디아 블랙웰 GPU 기반의 AI 슈퍼컴퓨팅 구축, 국내 AI 기술센터 및 애플리케이션 센터·데이터센터 동시 신설 등이 추진되며, 이러한 AI 인프라는 단일·지능형 생태계 안에서 차량, 로봇, 생산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엔비디아 DGX, 옴니버스, 드라이브 AGX 토르 등 차세대 AI 컴퓨팅 플랫폼이 동원되며, 완전 자율형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 구현과 예지보전,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디지털 트윈 전략도 본격 가동된다.

피지컬 AI 혁신”…현대차그룹·엔비디아, 30억달러 공동 투자→미래 공장·모빌리티 대전환
피지컬 AI 혁신”…현대차그룹·엔비디아, 30억달러 공동 투자→미래 공장·모빌리티 대전환

현대차그룹의 정의선 회장은 AI 주도권의 본류에서 글로벌 경쟁사가 아닌 기술 동반자와의 연합을 통해 AI 모빌리티 혁신, 스마트 제조의 질적 도약은 물론, 국내 AI 생태계 구축과 인재 양성을 겨냥한 체계적 비전을 제시했다. 정부·산업계 연계모델이 실효적으로 작동된 구상으로, 향후 AI 제조혁신, 첨단 자율주행, 로보틱스 통합 등에서 대한민국이 글로벌 판세의 중심으로 부상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규모 투자를 통해 AI가 실제 자동차 설계·생산·서비스 전 과정에 내재화되고, 모빌리티 산업의 성장 궤적이 일대 전환점을 맞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박선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현대차그룹#엔비디아#피지컬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