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해제 표결 혼선 있었다”…김예지, 내란특검 참고인 조사 참석
‘계엄 해제 방해 의혹’을 둘러싼 정치적 충돌이 국민의힘과 내란 특별검사팀 사이에서 본격화됐다.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은 11일 오후 서울고등검찰청에 설치된 조은석 내란특별검사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했다. 계엄 해제 표결 과정에서 불거진 장소 혼선 등 경위를 밝히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김예지 의원은 이날 출석하며 “작년 12월 3일 상황에 대해 물어볼 것 같은데 제가 아는 대로 소상히 말씀드리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날 본회의장으로 부르기도 하고 중앙당 당사 3층으로 부르기도 하고 몇 번 교차됐다. 혼선이 있었던 것 같다”고 당시 현장을 회상했다. “개인적으로 문자를 보내 ‘본회의장으로 와야 한다’고 말한 의원도 있다”며 “연락 주체들도 다르고 장소들도 달랐다”고 덧붙였다.

실제 김 의원은 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 사태 당시 인파에 막혀 국회 본회의장에서 진행된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 표결에 참여하지 못했다. 이후 김 의원은 SNS를 통해 “본회의장에 함께할 수 없었지만, 비상계엄 해제 결의에 대한 마음은 이미 찬성 버튼을 백만 번은 더 눌렀던 것 같다”고 소회를 밝혔다.
당시 국회 표결에서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은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90명이 불참한 상태에서, 재석 190명·찬성 190명으로 가까스로 통과됐다. 특검팀은 국민의힘 소속 의원 다수가 표결에 불참한 배경에 윤석열 전 대통령, 추경호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실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여부를 조사 중이다.
추경호 전 원내대표는 당시 비상 의원총회 장소를 국회와 여의도 당사 사이에서 세 차례 변경했고, 이 과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추 전 원내대표가 직접 통화한 정황까지 포착됐다. 이에 따라 “추 전 원내대표가 윤 전 대통령 요청을 받고 의총 장소를 바꿔 표결을 방해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확산됐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에도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을 참고인으로 소환해 5시간가량 조사했다. 조경태 의원은 비상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한 18명의 국민의힘 의원 중 한 명이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김상욱 의원, 우원식 국회의장 등도 참고인 조사를 받은 바 있다.
정치권은 계엄 해제 표결 과정에서 나타난 국민의힘 내부 혼선을 두고 격렬히 대립하는 양상이다. 여권은 위치 혼선과 물리적 장벽 때문이었다는 해명을 내놨지만, 야권은 정치적 의도에 무게를 싣고 있다. 내란특검의 소환 조사가 이어지며, 주요 인사에 대한 소환 가능성도 높아지는 분위기다.
특검팀은 의원 관련 참고인 조사가 일단락되는 대로, 추경호 전 원내대표 역시 직접 출석조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정국은 내란특검의 행보에 따라 추가 격랑이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