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캄보디아 실종·감금 사태 실태조차 불명확”…외교부·경찰 통계도 엇갈려, 정부 특별 대응 착수

강다은 기자
입력

캄보디아에서 잇따르는 한국인 대상 취업사기와 감금, 고문 사망 사건을 두고 정부의 실태 파악 능력이 도마에 올랐다. 외교부와 경찰청 통계마저 서로 달라 피해 신고와 안전 미확인 인원 규모가 ‘오리무중’인 채, 대통령실이 뒤늦게 특별 대응책 마련에 나선 상황이다.

 

14일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캄보디아 내 안전이 확인되지 않은 한국인은 약 80명으로 집계됐다. 해당 시기는 20대 한국인이 현지에서 고문 끝에 사망한 직후로, 유사 범죄가 연쇄적으로 불거진 시기와 겹친다. 다만 이후 한 달 이상 경과했음에도 최신 피해 규모는 집계되지 않아 신고 누락과 실태 파악 부실에 대한 지적이 거세다.

외교부 관계자는 "통계가 8월까지라 수치가 계속 유동적"이라고 말하며 불확실성을 인정했다. 실제로 경찰청이 같은 기간 접수한 캄보디아 관련 실종·감금 의심 사건은 143건, 현재 52건이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외교부가 공개한 지난해부터 올해 8월까지의 피해 신고는 550여 명, 안전 확인 인원 470여 명, 안전 미확인 인원 80여 명이다. 두 부처 간 통계 차이를 두고, 경찰청은 "경찰은 국내 신고를, 외교부는 영사콜센터 등을 통한 해외 신고를 집계하는 차이가 있어 교차 검증이 필수"라고 설명했다.

 

정치권과 정부는 갈수록 악화되는 피해 실태에 대응하기 위해 특별 신고 기간을 운영하고, 기존 통계와 신고 간격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대통령실은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정부 합동 대응팀을 15일 현지에 파견한다고 전했다. 박성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 국가정보원 등이 포함된 대응팀은 캄보디아 당국과 구금된 한국인 송환 문제, 지난 8월 발생한 한국인 대학생 고문 사망사건의 공동 조사 등도 협의할 방침이다.

 

아울러 경찰청은 아세안 지역에서의 한국인 납치·감금 범죄에 대응할 국제 공조협의체를 주도적으로 출범시키고 합동 작전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정부는 현지 범죄 다발 지역에 대한 여행 경보 격상을 검토하고, 주캄보디아 대사관에 경찰 주재관 증원 등 인력도 추가할 방침이다.

 

정부가 각 부처 간 통계 불일치와 실태 파악의 허점을 해소하는 한편, 피해자 보호 및 범죄 단속 강화에 나설지 주목된다. 외교부와 경찰청은 향후 현지 대응팀 활동을 바탕으로 실태에 대한 보다 정밀한 조사와 제도 개선을 이어갈 예정이다.

강다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외교부#캄보디아#경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