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관리자 3명 중 1명은 여성”…인사혁신처, 공공부문 성별균형 진전 강조
공공부문 관리직에서 여성·이공계 출신의 비중 확대가 뚜렷해지고 있다. 인사혁신처가 내놓은 최근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성별·전공·장애 등 다양한 측면에서 대표성 강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인사혁신처는 9월 30일 ‘2025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를 발간하며 지난해 기준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리자 직급 공무원 3명 중 1명이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중앙부처 고위공무원, 부처 본부 과장급, 지자체 5급 이상에서 여성 비율은 33.4%로 집계됐다.

인사혁신처 관계자는 “2019년 이후 6년 연속 여성 관리자 임용 목표를 뛰어넘었다”며 “공공부문 성별 대표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부처 본부의 과장급 여성 비율은 올해 30.8%로, 전년 대비 2.4퍼센트 포인트 상승하며 처음으로 30%대를 돌파했다. 중앙부처 여성 고위공무원 수도 2024년 201명으로 1년 전보다 18명 늘었다.
관리직 내 이공계 비율도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이다. 중앙부처 고위공무원 및 4급 이상 관리자 가운데 이공계 인력 비율은 각각 27.2%, 37.0%로, 전년 대비 각각 1.3퍼센트 포인트와 0.9퍼센트 포인트 오르며 전문성 다각화에 힘이 실리고 있다.
장애인 공무원 고용률도 주목된다. 중앙부처와 지자체의 장애인 고용률은 각각 3.53%, 3.68%로 집계돼 전년 대비 소폭 하락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기관의 경우 4.05%로 0.15퍼센트 포인트 상승했고, 특히 중증 장애인과 여성 장애인 공무원 비중은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고 인사처는 설명했다.
한편, 2024년 중앙부처 7급 공채에서 지방인재 선발 비율은 29%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수치다.
정부는 앞으로도 성별·출신·장애 등 각종 대표성 강화 정책을 이어갈 방침이다. 인사혁신처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인력 풀을 확대하기 위한 균형인사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