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유·무인 전력모함 2030년대 후반 배치”…해군, 차세대 복합전투체계 구축 본격화
해군의 미래 전장 구상과 국방개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해군은 23일 충남 계룡시 계룡대에서 진행된 국회 국방위원회 해군본부 국정감사에서 2030년대 후반까지 3만톤급 한국형 유·무인 전력모함(MuM-T Carrier) 확보 계획을 공식 보고하며, 기존 경항공모함 대신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을 발표했다.
이날 보고에서 해군은 전투·감시정찰·타격용 등 다양한 무인항공기(UAV)와 상륙기동헬기, 공격헬기를 동시 탑재할 수 있는 3만톤급 전력모함 도입으로 생존성과 공격력의 비약적인 향상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국형 유·무인 전력모함은 독도급 대형수송함처럼 침수갑판을 적용해 무인수상정, 고속상륙정 등도 탑재·투입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예정이다.

해군은 “실시간 네트워크를 통한 분산 유·무인 전력 통합지휘로 미래 해양작전에서 한국형 킬웹(Kill-Web)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인공지능(AI)·네트워크 중심의 한국형 킬웹 구축, 함정 승조원 순환근무제도 등 근무 환경 개선 방안도 함께 보고됐다.
강동길 해군참모총장은 “AI·첨단과학기술 기반 해군력으로 미래 전장에서 반드시 승리할 수 있도록 부대구조, 작전개념 모두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국방위원회 의원들은 해군의 전력증강 계획에 주목하며, 한미 동맹 내 역할 변화와 잇따른 북중러 안보 환경 변화에서 해군력 증강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반면 복합전투체계 시범도입에 따른 사업 안정성, 무인무기 운영체계 정립, 재정 소요 등을 두고 신중론도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2030년대 후반 도입 시기가 글로벌 해군력 재편 흐름과 맞물릴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동아시아 해양안보 구도 변화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날 국정감사에서는 해병대 역시 상륙돌격장갑차(KAAV-II) 계열 모듈화, 유무인 복합체계 적용 방안 및 고속전투주정 전력 확대 등 전력 전환 가속화 계획을 병행 보고했다. 국회와 정부는 관련 예산과 제도 지원 논의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