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캄보디아서 한국인 60여명 송환 추진”…위성락, 한중 공조 확대 시사

송다인 기자
입력

한국과 캄보디아 당국 간에 구금된 한국 국민의 송환을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캄보디아 수사 당국의 단속에 의해 검거된 한국 국적 범죄혐의자 60여명을 조속히 송환하는 데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며 "이번 주말까지 송환이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근 캄보디아에서는 보이스피싱 등 온라인 스캠 범죄조직에 의해 여러 한국인들이 감금 또는 검거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위 실장은 "현지 범죄조직에 억류된 국민의 경우 구출까지 변수도 많지만, 캄보디아 정부가 신병을 확보한 국민의 송환부터 우선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위성락 실장은 "캄보디아 스캠 산업에는 다양한 국적의 20만명가량이 종사하며, 그 중 한국인은 1천명 남짓으로 보고 있다. 지금까지 68명이 검거됐으나, 현재 63명이 구금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항공편을 준비하는 등 가급적 이번 주 안, 조금 늦더라도 주말까지 송환 작업을 마치려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또한 '스캠 합동대응 태스크포스(TF)' 등 양국 수사 협력체계도 강화하고 있다. 위 실장은 "캄보디아측 20명, 한국측 4명으로 TF팀을 꾸려 더 많은 범죄혐의자 검거가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동시에 현지 코리안 데스크(한인 사건 대응 전담 경찰관) 설치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중국인 조직원의 관여가 크다는 점도 언급됐다. 위성락 실장은 "캄보디아 범죄 조직에 중국인의 참여가 많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라며 "한국 정부는 중국과의 정보 공조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 사안은 윤석열 대통령도 높은 관심을 갖고 직접 챙기고 있다"며 향후 정상 간 협력 가능성도 내비쳤다.

 

한국 정부가 최근 캄보디아의 반체제 인사 송환 요구를 거부한 상황과 관련해 양국 협력에 타격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캄보디아 정부는 검거된 한국 국민을 한국으로 송환하겠다는 입장이다. 양국 협력에 장애물은 없다"고 답했다. "캄보디아가 우리와의 협조를 회피하지 않는다. 국민들이 캄보디아를 과도하게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고도 당부했다.

 

피해 규모가 급증한 배경에 대해서는 "2024년 감금 신고가 220건에 달했다. 캄보디아 스캠 산업이 한국을 표적으로 삼은 영향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위 실장은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330건의 감금 신고가 있었고, 이 중 80%는 이미 해결됐다"고 밝혔다.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도 파장이 미칠 것이란 전망에 대해서는 "ODA와 이 문제는 관련짓고 있지 않다. 사업의 자체 타당성을 기준으로만 검토한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이날 정치권과 외교 당국은 이번 캄보디아 사태가 한국의 국익과 해외 국민 안전 문제 양면에서 예민한 쟁점으로 다뤄지는 만큼 정부 차원의 집중 대응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정부는 송환 협력과 피해 구출을 신속하게 마무리한다는 방침을 거듭 강조했다.

송다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위성락#캄보디아#한국인송환